Trends and Prospects for Demographic Structure and Labor Supply in Korea

우리 나라 인구 및 학력의 구조변화와 노동력 수급전망

  • 구성열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
  • 강병규 (연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 수료)
  • Published : 1998.06.01

Abstract

Over the past 30 years, Korea experienced demographic transition which typically substitutes quality(education) for quantity(number) of population. This paper decomposed labor supply into quantity and quality aspects and estimated the respective employment elasticities of economic growth in the past. Then, based on the assumptions about the future population (by age, sex and education) and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s, the future labor supply(both quantity and quality) is projected and growth potential of the Korean economy is evaluated. The result shows that labor supply in Korea is relying gradually more on the qualitative rather than the quantitative aspect but since the increase in the former will not fully compensate the decrease in the latter, the potential growth rate of the Korean economy will be substantially reduced in the futrue.

과거 30년 동안 우리 나라의 인구는 양적 증가가 둔화된 대신 질적(교육)수준이 향상되는 전형적인 인구변천과정을 겪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노동공급의 변동을 양적 측면과 질적(교육수준)측면의 두 요인으로 나누어 과거 30년간 우리 나라 경제성장의 고용흡수력을 분해 측정하였다. 그리고 인구구조(성, 나이, 학력)와 경제활동률을 전망한 다음 노동공급의 양적 측면과 질적 측면에 대한 전망을 토대로 하여 향후 우리 나라의 성장잠재력을 전망하였다. 그 결과 우리 나라의 노동공급은 양적 구조에서 질적 구조로 변화하고 있지만 양적 감소요인을 질적 증가요인이 충분히 상쇄하지 못함으로써 잠재성장률이 현저히 둔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