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열성여과포의 개발 및 기초성능 규명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High Temperature Filter

  • 박영옥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에너지환경연구단) ;
  • 구철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에너지환경연구단) ;
  • 임정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에너지환경연구단) ;
  • 김홍룡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에너지환경연구단) ;
  • 손재익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에너지환경연구단) ;
  • 이영우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발행 : 1998.03.01

초록

산업용 직물여과포의 운전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내열성여과포를 개발하여 성능을 규명하였다. 국내 산업체에서 배출되는 대표적인 네 종류의 먼지들, 즉 제철공정의 코크먼지, 시멘트 제조업체의 시멘트 먼지, 유동층 연소로의 비산회재, 그리고 폐플라스틱 소각로의 연소재에 대하여 여과포의 성능을 시험하였다. 내열성여과포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평균 세공흐름압력 및 기포점 세공지름, 평균흐름 세공지름, 세공크기분포, SO2 및 NO2 분위기에서의 물성변화의 항목으로 평가 되었다. 또한, 벤치규모의 필터시험장치에서 직물여과포에 대한 압력손실, 먼지 통과율, 여과포 성능 평가지수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직물여과포는 양호한 물리화학적 필터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전형적인 산업체 먼지를 처리하는데 적합하였다.

A high temperature fabric filter was developed and characterized in order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encountered in the operation of industrial fabric filters. Four kinds of dusts generated in the typical domestic industry were used for its characterization, coke dust from a steel manufacturing process, cement dust from a cement manufacturing process, fly ash from a fluidized-bed combustor, and incinerator ash from a waste plastics incinerator.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high temperature fabric filter were analyzed in terms of mean flow pore pressure, bubble point pore diameter, mean flow pore diameter, pore size distribution, and the changes in tensile strength and initial elastic modulus under $SO_2$ and $NO_2$ atmospheres. Pressure drop, dust penetration, and figure of merit for the fabric filter were also investigated in a bench-scale filter testing unit. The fabric filter developed in this study had good physical and chemical filter properties and showed a very applicability to typical industrial dusts treatm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한국동력자원연구소 연구보고서, KE91049G 에너지소비에 따른 대기환경영향 평가기법 개발(Ⅱ) 김영성;경남호;선도원;조성호
  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연구보고서, KE-92059G 에너지소비에 따른 대기 환경영향 평가기법 개발(Ⅲ) 김영성;경남호;선도원;조성호;임전황
  3. 21세기 에너지 관련 기술워크 발표자료 분진저감기술 강석호
  4. 한국환경연감 환경청
  5. 보고서 Bag Filter에 관하여 우다산업(주)
  6. 日本紛體工業協會 編 Bag Filter Handbook 尹伊谷鋼
  7. 試驗用 ダスト JIS Z 8901
  8. 환경공학 기술개발사업 제2차년도 년차보고서 v.9-1-2 고온 여과재료 개발 및 실용화에 관한 연구 이재춘;박영옥;홍민선
  9. 환경공학기술개발사업 제1단계 단계보고서 v.9-1-2 고온 여과재료 개발 및 실용화에 관한 연구 홍민선;이재춘;박영옥
  10. Filtration Principles and Practices M. J. Matteson;C. Orr
  11. Filtration & Separation The Generation and Evaluation of Fabric filter Performance Curves from Pilot Plant Data E. T. Davis;P. J. LaRosa;K. E. Noll
  12. A Model for Coal Fly Ash Filtration Journal of the Air Pollution Control Asspciation v.29 no.3 R. Dennis;H. A. Klemm
  13. 화학공학 v.29 no.4 유리섬유 여과포에 의한 석탄회 포집, Ⅰ. 분진층 형성과 압력손실 특성 박영옥;김영성;손재익;정태수
  14. Southern Research Institute, Quarterly Technical Progress Trport, SRI-ENV-89-586-6666 Characterzation and Modification of Particulate Properties to Enhance Filteration Performance T. R. Snyder;M. S. Robinson;P. V. Bush
  15. Aerosol Technology, Properties Behavior, and measurement of Airbrne Particles W. C. Hinds
  16. 환경공학기술개발사업 제1차년도 년차보고서 v.9-1-2 산업용 고효율 여과포집진기술 개발 손재익;박영옥;김영성;박영성;구철오;임정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