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Nursery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rowth of Pacific Oyste, Crassostrea gigas

양식어장 환경요인이 참굴 (Crassostrea gigas)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1998.08.01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parameters on the growth of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at old suspended culturing grounds of Korsung Bay and newly deveoped bottom, culturing grounds of Haenam region located in southern coast of Korea. The Kosung Bay was semiclosed and water exchange occurred through the small mouth and the current speed was very slow as the value of below 0.5kn. Haenam was opened and littoral zone. Current speed of the surroundings of this Bay about to 5.0knand transparency was low with the mean depth of 1.2m by the resuspension of the sediments.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regimes were suitable for oysters at those sites, however the mean value of those parameters and seasonal fluctuations was high at Kosung. The mean concentration of dissolved oxygen in survey area was above $5.0mg/\ell$. In Kosung, however, it was decreasing in June and showed the minimum with the concentration of $4.0mg/\ell$ in August at the bottom layer and recovered in September. Eutrophication parameters such as COD were 1.44 mg/l at this location. This mean valu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Haenam Bay's $0.96mg/\ell$. The men value of chlorophyll-$\alpha$ at Haenam was two times higher than the other sites. Growth of shell height and meat weight of oysters at Kosung Bay were higher and the fatness was lower compared to thost of Haenam. As a result, absolute growth of oysters was high at Kosung and allometric growth, such as fatness, was good at Haenam. Low water temperature and frequent exposure of oysters to the air during ebb tide may retard the shell growth. On the other hand, relatively high food availability was profitable for the fatness at haenam site.

최근 들어 굴이 후기채묘 부진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로프수하식 어장과 새로운 채묘어장으로 개발되고 있는 천해 투석식 어장의 환경 특성을 평가하고 참굴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위하여 1995~1996년 동안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성어장은 입구가 좁은 자루 형태의 폐쇄성이 강한 만으로 유속은 0.5kn 이하로 미약하였으며, 해남어장은 개방수역으로 수심이 낮아 간조시 노출되며, 주변해역의 유속도 5.0kn 이상을 나타내고 있었다. 두 해역의 평균 투명도는 각각 5.1m 및 1.2m로 해남어장이 낮게 나타났다. 연간을 통한 수온 및 염분의 평균 농도는 고성어장이 높았으며, 계절적 변동폭 또한 컸다. 용존산소 농도는 고성어장의 저층에서 6월 이후 낮아지기 시작하여 8월에 $4.0mg/\ell$의 최저치를 나타내었고 9월에 회복되는 경향이었으며, 해남어장은 전 조사기간을 통하여 5.0 mg/l이상의 높은 농도 분포였다. 화학적 산소요구량은 고성어장에서 평균 $1.44mg/\ell$로 해남어장의 $0.96mg/\ell$에 비하여 오염도가 심한 반면, chlorophyll-$\alpha$농도는 해남어장이 2배 가량 높게 나타났다. 인과 질소와 같은 영양염류는 고성어장에서 여름철에 저층의 농도 증가가 뚜렷하였고, 겨울철로 접어들면서 축적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해남어장에서는 특별한 계절변동을 나타내지 않았다. 참굴의 각고는 고성어장에서 총 16개월의 실험기간동안 80.1 mm까지 성장하였으며, 해남어장은 총 9개월의 양성기간 동안 61.3 mm로 성장하였다. 육질은 성장은 각각 13.9 g 및 3.35 g에 달하여 고성어장의 절대 성장이 양호하였다. 비만도는 각각 11.6~21.9(평균 15.9)% 및 11.0~22.7(평균 17.6)%로 해남어장이 높았고, 특히 산란 시기의 비만도는 해남어장이 월등히 높았다. 이상에서와 같이 고성어장은 굴의 패각 또한, 육질의 절대 성장은 해남에 비하여 양호하였으나, 비만은 저조하였다. 또한, 유기오명의 진행과 낮은chlorophyll-$\alpha$ 수준 등 환경적인 무제가 있는 곳이었다. 해남어장은 고성에 비하여 낮은 수온 분포와 간조시 노출과 같은 열악한 환경에 의한 단련으로 각 성장이 지연되는 반면, 고성어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풍부한 chlorophyll-$\alpha$의 양은 비만도를 높이는 오인 중의 하나로 생각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Aquaculture v.70 Influences of temperature, salinity and available food upon suspended culture of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Ⅰ. Absolute and allometric growth Brown, J. R.;E. B. Harwick
  2. J. Kor. Fish. Soc. v.11 no.4 Environment in the oyster farm area Chungmu Cho, C. H.;Y. S. Kim
  3. J. Kor. Fish. Soc. v.13 no.2 Farming density of oyster in Hansan-Geoje Bay Cho, C. H.
  4. J. Kor. Fish. Soc. v.27 no.4 Numerical simulation of the formation of oxygen deficient water-masses in Jinhae Bay Choi, W. J.;C. K. Park;S. M. Lee
  5. J. Kor. Fish. Soc. v.30 no.5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the fatness of Pacific oyster, Crassostre gigas in Hansan-koje Bay Choi, W.J.;Y. Y. Chun;J. H. Park;Y. C. Park
  6. J. Kor. Fish Soc. v.13 no.4 Efficiency of energy transfer by a population of the farmed pacific oyster, Crassostre gigas in Geoje-Hansam Bay Kim, Y. S.
  7. J. Kor. Fish. Soc. v.24 no.1 Primary production in the oyster farming Bay Lee, B. D.;H. K. Kang;Y. J. Kang
  8. A practical handbook of seawater analysis (2nd. ed.) Strickland, J. D. H.;T. R. Parsons
  9. 연안어장 및 임해공업단지 주변 해역의 해수유동 국립수산진흥원
  10. 한국근해 수온분포도 한국수산진흥원
  11. 굴양식수협 20연사 굴수하식양식수산업협동조합
  12. 농림수산통계연보 농림수산부
  13. '94남해수연 사업보고 피조개 양식장의 지속적 생산에 관한 연구 박정흠;문태석;전영열;최우정;최혜승;김풍호
  14. 천해양식 유성규
  15. 水産學シりズ v.87 物質循環モデル 藏本武明;中田善三郞
  16. 沿岸海洋硏究ノ-ト v.26 no.2 シンポウム貧酸素水塊のまとめ 柳哲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