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의 통합적 마케팅커뮤니케이션을 위한 VMD전략 계획에 관한 연구-VMD구성요소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VMD Strategy Plan for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in Department Store -An Analysis of VMD Organization Elements-

  • 김연아 (계원조형예술대학 건축디자인과 겸임교수)
  • 발행 : 1998.12.01

초록

Due to rise in a more sophisticated consumer and free distribution of foreign goods domestic department stores have been confronted with the need to change marketing strategy. The VMD strategy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as the means in reaching the contemporary consumer who has been sensitized to a visual style of marketing strategy. The use of VMD organizational elements have enabled us to create basic planning data that more accurately reflect our current marketplace trends,. The positive influence and supporting role of visual merchandiser is needed more than ever and will be an important part of future profit and customer satisfaction regardless of whether the customer is driven from image buying values and product-quality issues.

키워드

참고문헌

  1. 백화점이야기 곽영수
  2. 감성시대의 칼라마케팅 김훈철;장영렬
  3. 비주얼머천다이징 & 디스플레이 심낙훈
  4. 패션머천다이징 이호정
  5. 디자인 마아케팅 재수명
  6. 소매관리 한동철
  7. 실내디자인각론 한국실내디자인학회편저
  8.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논문 상업공간의 커무니케이션 요소추출을 통한 디자인연구 박성철
  9.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회지 no.9 백화점 실내디자인 이미지의 구성요소 선호도에 관한 연구 서종호;최상헌
  10. 한국디자인학회 학회지 no.21 유통환경 마케팅커뮤니케이션과 비주얼 머천다이징을 위한 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유영배
  11. 신한리뷰 no.여름호
  12. 유통저널 no.2월;7월
  13. 월간마케팅 no.6월
  14. Visual Merchandising & Display
  15. IMF시대의 소배형태와 구매패턴의 변화 대한서울상공회의소
  16. Retail shop in New York Interior & Display
  17. Inspi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