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공간개발에서의 연계공간 디자인연구 -대학가와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A Study of Connecting Space Designs in the Development of the Underground Space -focused on University and Subway Area-

  • 박전자 (숙명여대 환경디자인학과 교수 도시환경계획학 박사)
  • 발행 : 1998.06.01

초록

Through the rapid growth of Korea for the effectiveness and rationalization of the use of land the development of the underground land is mostly needed. Especially I think that in the limited country(like Korea) when we consider that the population of metropolitan area is almost a third if a total population of this country it is time that we should consider the method of transfer for using of under ground not of on the ground from the legal or systematic recognition of the land. 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that the person involved in the urban development (the person for architect urban development landscape architect and adminstratives) should pay much attention to the using of the underground spaces.

키워드

참고문헌

  1. Underground Space Design Carmody, J.C.;R.L. Sterling
  2. Geo ·Space Urban Design Gidions. Golany;Toshio Ojima
  3. Design of Enclosed Space Piera Scuri
  4. Israel,AIA,Fisp,Store Planning/design; history, theory,process Lawrence J
  5. The Hidden Dimensional Edward T. Hall
  6. 외부환경디자인 Nisijawa T;이범재;김병윤(공역)
  7. 지하철역과 쇼핑센터의 연계공간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남규
  8. 지하공간 no.5 지하공간 개발현황 및 전망 선용
  9. 95년도 지하철 정기 교통량조사 서울지하철공사
  10. 이화여대 석사 지하철 공간 디자인에 있어서 이용자 중심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권순임
  11. 홍익대학교 석사 조명효과를 중심으로한 지하공간 활성화에 관한 연구 오세두
  12. 지하공간활용연구, 1차년도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13.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도시지하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박기오
  14.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 논문 지하보도공간의 식재조경에 관한 연구 김승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