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ntaminant Transport Characteristics in Han River

한강 하류부에서의 오염물질의 거동특성 연구

  • 김형일 (동아건설산업(주) 기술연구소) ;
  • 이종설 (국립방재연구소 연구관,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토목공학과, 국립방재연구소)
  • Published : 1998.02.01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predict the contaminant transport based on the hydrauli characteristics using 2-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The dynamic wate quality model. RMA-4. is used to predict the contaminant transport using the hydrulic characteristics obtained from RMA-2v model. The study region is from downstream of Cham-sil weir to upstream of Shin-Kok weir. From the results of contaminant transport analysis. it is shown that the variations of discharge and velocity give quite large effect to the transport and dispersion of contaminant material. and that the water qualities of Joong-Rang and Tan streams play an important role to the downstream also. when the incidental contaminant accident occurs and contaminant material moves to the downstream. it is resulted the decreasing of the maximum COD and the increasing of the duration time to be affected by contaminant. Finally. 2-dimensional analysis is required in the case of large river like Han River. since the large difference of contaminant concentration has been investigated in the left and right bank.

본 연구는 도시하천인 한강 하류부에 2차원 유한요소모형을 적용하여 하천의 수리학적 특성에 따른 오염물질의 거동특성을 모의하고 예측하기 위한 것으로서 흐름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RMA-2V 모형과 동적 수질예측이 가능한 RMA-4모형을 이용하였다. 2차원 유한요소모형을 사용하여 수질의 거동특성을 모의하여 본 결과 유량 및 유속의 변화는 오염물질의 이송확산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탄천 및 중랑천은 대상구역내의 수질오염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시의 오염사고가 발생했을 때 오염물질이 하류부로 이동함에 따라 최대 COD 값은 감소하고,오염물질이 영향을 미치는 지속기간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전체적으로 좌·우안의 오염물질의 농도차가 크게 나타났으며, 이로써 한강과 같은 대하천의 경우 실시간 예측시 2차원 해석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1995년 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준 3차원 확산모형을 이용한 감조하천내 오염물질의 거동특성 연구 박무종;김중훈;윤용남
  2. 한강 수질관리 효율화 방안연구 유명진
  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7 no.4 대류분산 모형에 관한 유한차분근사의 특성 이길성;강주환
  4. 수심평면도 한강관리사업소
  5. 한국수자원학회지 v.28 no.4 한강 하류부에서의 총질산과 총인에 대한 수질모의 한건연;송재우;김상호;백경원
  6. RMA2/RMA4 Primer King, 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