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Prediction of Daily Water Supply Usion ANFIS

ANFIS를 이용한 상수도 1일 급수량 예측에 관한 연구

  • Rhee, Kyoung-Hoon (Dept.of Civil Engineering, Engineering College, Chonnam National Universityisy) ;
  • Moon, Byoung-Seok (Dept.of Civil Engineering, Senam University) ;
  • Kang, Il-Hwan (Dept.of Civil Engineering, Engineering College, Chonnam National Universityisy)
  • 이경훈 (전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문병석 (서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강일환 (전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Published : 1998.12.0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ediction of daily water supply, which is a necessary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water distribution system. Fuzzy neuron, namely artificial intelligence, is a neural network into which fuzzy information is inputted and then processed. In this study, daily water supply was predicted through an adaptive learning method by which a membership function and fuzzy rules were adapted for daily water supply predic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d methods for predicting water supply based on data abou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city of Kwangju. For variables choice, four analyses of input data were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autocorrelation analysis, par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and cross-correlation analysis. Input variables were (a)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b) the mean temperature, and (c)the population of the area supplied with water. Variables were combined in an integrated model. Data of the amount of daily water supply only was modelled and its validity was verified in the case that the meteorological office of weather forecast is not always reliable. Proposed models include accidental cases such as a suspension of water supply. The maximum error rate between the estimation of the model and the actual measurement was 18.35% and the average error was lower than 2.36%. The model is expected to be a real-time estimation of the operational control of water works and water/drain pipes.

본 논문에서는 상수도시설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데 필요한 1일 급수량 수요를 예측하는 방식에 대하여 인공지능(Artificial Inteligence)이라 불리는 퍼지 뉴론(fuzzy neuron)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퍼지뉴론이란 퍼지정보(fuzzy information)를 입력으로 받아들이고 처리하는 퍼지 신경망을 일컫는 말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속함수와 퍼지규칙을 신경망으로 학습하는 기능인 적응식 학습방법을 통하여 1일 급수량을 예측하였으며 연구대상 지역으로는 광주광역시를 선정하였다. 또한 1일 급수량 예측에 있어서 필요한 변수 선택을 위해 입력자료를 상관분석, 자기상관, 부분자기상관, 교차상관 분석 등을 하였으며 동정된 입력변수는 급수량, 평균기온, 급수인구이다. 먼저 급수량, 평균기온, 급수인구로 모델을 구성하였고, 한편으론 기상청의 기후예보자료를 신뢰할 수 없는 경우에는 급수량을 예측할 수 있도록 급수량 자료만으로 모델을 구성하여 그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제안된 모형식은 사고 등의 인위적인 조작(단수 등)이 가해지는 시기를 포함하고도 실측치와 모형의 예측치와의 오차율이 최대 18.46%, 평균2.36% 이내로 나타나, 모형의 결과는 상수도 시설의 운용 및 급·배수관망의 실시간 제어에 많은 도움을 주리라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제어·자동화·시스템공학회지 v.1 no.3 퍼지제어 : 뉴로 퍼지 제어 기술특집 강근택
  2. 제어·자동화·시스템공학회지 v.1 no.3 퍼지집합, 퍼지척도 및 퍼지적분 : 뉴로 퍼지 제어 기술특집 권순학
  3. 제어·자동화·시스템공학회지 v.1 no.3 적응 퍼지제어 : 뉴로 퍼지제어 기술특집 공성곤;김민수
  4. 인공지능 개념 및 응용 도용태;김일곤;김종완;박창현
  5. 박사학위 논문, 전남대학교 신경망 이론을 이용한 1일 급수량 예측 문병석
  6. 퍼지 이론 및 응용 이광형;오길록
  7. 대한상하수도학회지 v.9 no.2 상수도의 급수량 및 배수지 용량변화에 관한 연구 이경훈;박성천;문병석
  8. 제36회 수공학연구발표회 논문집 상수도 1일 급수량 변화와 확률분포 모형에 관한 연구 이경훈;이삼노;문병석
  9. 한국수문학회지 v.27 no.2 상수도 1일 급수량의 시간적 변화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이경훈;이삼노;문병석
  10. IEEE Trans. on System, Mang and Cybernetics v.23 no.3 ANFIS: adaptive network-based fuzzy inference system Jang J.-S.R.
  11. Introduction to fuzzy arithmetic Kaufmann, A.;Gupta M.M.
  12. Artificial neural networks theory and Application Patterson, D.W.
  13. Water Resources Research v.9 no.4 Price elasticity of demand for municipal water: A ease study of Tuscon, Arizona Young, 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