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결보존액의 종류와 동결방법에 따른 해동후 인간정자 운동성의 비교분석

Effect of Cryopreservation Medium and Freezing Method on Post-thaw Motility of Human Sperm : Comparison of Different Type of CASA

  • 전윤정 (차병원 여성의학연구소)
  • 발행 : 1998.06.01

초록

본 연구에서는 보다 효율적인 동결 보존법을 수립하기 위하여 현재 사용되는 동결 보존액과 동결방법을 정자의 운동성 측면에서 비교해 보았다. 즉, 세 종류의 조성이 다른 동결보존액인 TYB, dithiothreitol을 첨가한 TYB+DTT, KS II 등이 동결보존 전후에 있어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vapor freezing 방법과 computerized freezer를 사용한 동결방법이 정자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정자의 분석은 현미경적 방법과 두 종류의 컴퓨터 정자 자동측정기인 SAIS와 Hamilton Thorn을 사용하여 동결 전 후의 정자 운동성과 VCL, VSL, VAP, ALH, LIN 등의 sub-motility 패턴을 측정하였다. 정액성상이 정상인 군에서 동결보존액을 비교한 실험결과는 TYB군과 TYB+DTT군, 그리고 KS II군의 융해 후 운동성이 각각 28.3%, 23.0%, 34.8%로 KS II군이 우수하였고, 동결방법을 비교한 실험에서는 vapor freezing 군과 computerized freezing 군의 융해 후 정자 운동성이 각각 27.8%, 33.2%로 유의차는 없었다. 또한 무력정자증을 보인 정액군에서는 TYB군과 TYB+DTT군, 그리고 KS II군에서 융해후 정자 운동성이 각각 13.6%, 10.0%, 18.5%로 여기 KS II군이 우수하였으며, vapor freezing군과 computerized freezing군의 융해 후 정자 운동성은 12.8%, 12.9%로 유의차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운동성이 정상인 정액군과 무력정자증을 보이는 정액군에서 KS II를 사용해 동결하는 것이 TYB나 TYB+DTT를 사용하는 것보다 운동성 있는 정자를 회수하는데 더 효율적이며, 동결방법 측면에서는 vapor freezing 방법과 computerized freezing방법간에 큰 차이가 없음을 볼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done to find optimal cryopreservation medium and method to improve the post-thaw motility of human sperm. Thirty three semaen samples were included in the study. Of these, nineteen Samples showing normal semen profile were frozen using three cryprotectants (TYB, TYB+DTT and KS II)to compare post-thaw motility. Fourteen samples were frozen with vapor freezing and programmable freezing methods to compare post-thaw motility in correlation with freezing method. After 24 hrs of cryostorage , the vials were thawed and the post-thaw sperm motility was assessed by two kinds of computer-aededsperm analysis (CASA; SAIS and Hamilton Thorn). As a result, the post-thaw motility of the KS II group was higher than the TYB or TYB+DTT group in normal semen(34.8%, 28.3% and 23.0%, respectively). In the asthenospermia group, a significantly hither post-thaw motility was observed in the KS II (18.5%) compared to those of TYB or TYB+DTT group (13.6%, 10.0%, respectively). No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vapor freezing group and computerized freezing group in normal semen (27.8%, 33.2%, respectively) and semen group showing asthenospermia (12.8%, 12.9%, respectively). In conclusion, our results indicate that KS II medium is reliable for cryopreservation of human sperm and vapor freezing and programmable freezing were equally effective in terms of the recovery of motile spermatozoa.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