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mparison of Protective Effects of Adenosine Included Cardioplegia According to Adenosine Dosage

심정지액 속에 포함된 아데노신의 용량에 따른 심근보호 효과 비교

  • 유경종 (연세대학교 심장혈관센터, 심장혈관 연구소, 심장혈관외과) ;
  • 강면식 (연세대학교 심장혈관센터, 심장혈관 연구소, 심장혈관외과) ;
  • 이교준 (연세대학교 심장혈관센터, 심장혈관 연구소, 심장혈관외과) ;
  • 임상현 (연세대학교 심장혈관센터, 심장혈관 연구소, 심장혈관외과) ;
  • 박한기 (연세대학교 심장혈관센터, 심장혈관 연구소, 심장혈관외과) ;
  • 김종훈 (연세대학교 심장혈관센터, 심장혈관 연구소, 심장혈관외과) ;
  • 조범구 (연세대학교 심장혈관센터, 심장혈관 연구소, 심장혈관외과)
  • Published : 1998.09.01

Abstract

Background: Adenosine is secreted by myocardial cells during myocardial ischemia or hypoxia. It has many beneficial effects on arrhythmias, myocardial ischemia, and reperfusion ischemia. Although many investigators have demonstrated that cardioplegia that includes adenosine shows protective effects in myocardial ischemia or reperfusion injury, reports of the optimal dose of adenosine in cardioplegic solutions vary. We reported the results of beneficial effects of single dosage(0.75 mg/Kg/min) adenosine by use of self-made Langendorff system. But it is uncertain that dosage was optima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optimal dose of adenosine in cardioplegic solutions. Material and Method: We used a self-made Langendorff system to evaluate the myocardial protective effect. Isolated rat hearts were subjected to 90 minutes of deep hypothermic arrest(15$^{\circ}C$) with modified St. Thomas' Hospital cardioplegia including adenosine. Myocardial adenosine levels were augmented during ischemia by providing exogenous adenosine in the cardioplegia. Three groups of hearts were studied: (1) group 1 (n=10) : adenosine - 0.5 mg/Kg/min, (2) group 2(n=10): adenosine -0.75 mg/Kg/min, (3) group 3 (n=10) : adenosine -1 mg/Kg/min. Result: Group 3 resulted in a significantly rapid arrest time of the heart beat(p<0.05) but significantly slow recovery time of the heart beat after reperfusion(p<0.05) compared to groups 1 and 2. Group 2 showed a better percentage of recovery(p<0.05) in systolic aortic pressure, aortic overflow volume, coronary flow volume, and cardiac output compared to groups 1 and 3. Group 1 showed a a better percentage of recovery(p<0.05) in the heart rate compared to the others. In biochemical study of drained reperfusates, CPK and lactic acid level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of the groups.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group 2 [adenosine(0.75 mg/Kg/min) added to cardioplegia] has better recovery effects after reperfusion in myocardial ischemia and is the most appropriate dosage compared to group 1 and 3.

배경: 아데노신은 심근의 허혈상태에서 심근세포로부터 분비되어 부정맥과 심근허혈 및 수술후 재관류손상을 억제시키는 호르몬으로 알려져 있다. 아데노신의 심근보호 효과에 대한 연구는 주로 심정지액 속에 포함시킨 아데노신의 효과에 대하여 이루어 지고 있으나, 심정지액 속에 포함된 아데노신의 적정용량에 대해서는 보고가 다양하다. 저자들은 자체제작한 심폐체외순환 모델을 이용하여 단일용량의 아데노신(0.75 mg/Kg/min)이 우수한 심근보호효과를 나타낸 결과를 보고한 바 있으나 적절한 용량이었는지에 대한 확신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심정지액 속에 포함된 아데노신의 적정용량을 알아보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연구방법은 쥐를 이용하여 심정지시 심정지액(St. Thomas 심정지액)에 첨가한 아데노신의 용량에 따라 1군(0.5 mg/Kg/min), 2군(0.75 mg/Kg/min) 및 3군(1 mg/Kg/min) 으로 나누어 각각 10마리씩 실험하여 비교하였다. 마취 후 적출된 쥐심장의 대동맥과 좌심방에 도관을 삽관한 후에 심폐체외순환 모델에 연결하여 비작업성 순환과 작업성 순환을 시행하면서 혈역학적 수치를 측정하여 이를 대조값으로 이용하였다. 심정지액을 주입하여 심정지를 유도한 후에 90분간 허혈상태로 유지한 다음 비작업성 순환을 시행 후 작업성 순환으로 바꿔 10분, 30분 및 60분에 혈역학적 수치(심박동수, 수축기 대동맥압, 1분간 대동맥 박출량 및 관동맥관류량)를 측정하고, 생화학적 검사(CPK, Lactic Acid) 및 심장의 수분함유량도 측정하였다. 측정된 수치는 심정지 전 측정한 대조값에 대한 백분율로 환산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실험 결과 심정지 전에 측정한 대조값 사이에는 세군 사이의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심정지액의 주입 후 3군에서 가장 빨리 심정지가 일어났으며(p<0.05), 재관류 후 심박동이 돌아온 시간은 1군과 2군이 3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심박동이 빨리 돌아 왔다 (p<0.05). 그러나 1군과 2군 사이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심장의 재관류 후 측정한 심박동수의 회복률에서 10분에 측정한 값은 세군 사이에 유의성이 없었으나, 30분과 60분 에 측정한 값은 1군이 2군과 3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2군도 3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5). 수축기 대동맥압의 회복률, 1분 동안의 대동맥 박출량 및 심박출량(1분 동안의 대동맥 박출량과 관동맥관류량을 합산한 값)은 10분, 30분 및 60분에서 모두 2군이 1군과 3군에 비하여, 1군은 3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5). 관동맥관류량의 회복률은 10분과 30분에 측정한 값은 2군이 1군과 3군에 비하여, 1군은 3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60분에 측정한 값은 1군과 2군이 3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5). 심근의 수분함유량과 관상동맥 관류량의 생화학적 검사결과 CPK와 Lactic Acid는 세군 사이에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아데노신을 심정지용액에 첨가시 비교적 적정 용량은 0.75 mg/Kg/min 을 투여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J Thorac Cardiovasc Surg v.78 Preservation of ATP, ultrastructure, and ventricular function after aortic cross cramping and reperfusion Cunningham JN;Adams PX;Knopp EA(et al.)
  2. J Thorac Cardiovasc Surg v.28 Ultrastructural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global ischemia and reperfusion on human myocardium Schaper J;Schwarz F;Kittstein H;Kreisel E;Winkler B;Hehrlein FW
  3. J Thorac Cardovasc Surg v.82 Perioperative preservation of myocardial ultrastructure and high energy phosphates in man Balderman SC;Bhayana IN;Binette P;Chan A;Gage AA
  4. Circulation v.54 Cellular protection during myocardial ischemia Hearse DJ;Stewart DA;Braimbridge MV
  5. Am J Cardiol v.39 Ischemic contracture of the myocardium: Mechanism and prevention Hearse DJ;Garlick PB;Humphley SB
  6. 대흉외지 v.29 Adenosine 을 함유한 심정지액의 심근보호 효과 이호철;정태은;이동협 (등)
  7. 대흉외지 v.30 심근의 허혈시 아데노신을 함유한 심정지액의 심근보호효과 유경종;강면식;이교준;임상현;김종훈;조범구
  8. Circ Res v.47 The role of adenosine in the regulation of coronary blood flow Berne RM
  9. J Card Surg v.9 Harnessing nature's own cardiac defense mechanism with Acadesine, an Adenosine regulating agent Engler RL
  10. Circulation v.85 Protective effects of adenosine in myocardial ischemia Ely SW;Berne RM
  11. J Cardiothorac Vasc Anesth v.7 Adenosine and Myocardial protection Gatell JA;Barner HB;Shevde K
  12. Ann Surg v.200 Metabolic intervention to affect myocardial recovery following ischemia Pasque MK;Wechler AS
  13. Am Heart J v.123 Adenosine and its cardiovascular effect Freilich A;Tepper D
  14. Am J Physiol v.259 Endotherium-dependent and -independent relaxations to adenosine in guinea pig aorta Headrick JP;Berne RM
  15. Life sciences v.57 Adenosine and ventricular automaticity Hernandez J;Ribeiro J
  16. Mayo Clin Proc v.70 Mechanisms of Adenosine mediated actions on cellular and clinical cardiac physiology Shen WK;Kurachi Y
  17. J Thorac Cardiovasc Surg v.98 Adenosine cardioplegia Schubert T;Vetter H;Owen P(et al.)
  18. Ann Thorac Surg v.47 Enhanced myocardial protection with adenosine Bolling SF;Bies LE;Gallagher KP;Bove EL
  19. J Thorac Cardiovasc Surg v.99 Augmenting intracellular adenosine improves myocardial recovery Bolling SF;Bies LE;Bove EL;Gallagher KP
  20. Hypertension v.18 Adenosine, the heart, and coronary circulation Hori M;Kitakaze M
  21. Ann Thorac Surg v.48 Delayed myocardial metabolic recovery after blood cardioplegia Weisel RD;Mickle DAG;Finkle CD(et al.)
  22. Circulation v.56 The wavefront phenomenon of ischemic cell death: Myocardial infarct size vs duration of coronary occlusion in dogs Reimer KA;Lowe JE;Rasmussen MM;Jennings RB
  23. Circulation v.83 Mechanisms of reoxygenation injury in cultured ventricular myocytes Quaifi RA;Kohmoto O;Barry WH
  24. Circulation v.84 Neutrophil accumulation in ischemic canine myocardium: Insights into time course distribution and mechanism of localization during early reperfusion Dreyer WJ;Michael LH;West S(et al.)
  25. 대흉외지 v.22 심마비용액의 삼투압이 심근보호에 미치는 영향 -연세의대 심마비용액과 성토마스병원 심마비용액의 비교연구- 강면식;유경종;조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