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icacy of computerized tomographic scan for chest trauma

흉부외상 환자에 대한 전산화 단층촬영의 효용성

  • Roh, Hwan-Kyu (Dp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Choi, Ho (Dp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Young-Jin (Dp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Jung-Tae (Dp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Soh, Dong-Moon (Dp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Ryu, Han-Young (Dp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Lee, Cheol-Joo (Dp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노환규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 최호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 김영진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 김정태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 소동문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 류한영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 이철주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Published : 1998.03.01

Abstract

Computerized tomography(CT) is an effective technique in the initial evaluation of the abdomen and head following blunt trauma. To evaluate the efficacy of CT of the thorax, a retrospective study comparing early thoracic CT scanning with initial chest roentgenogram (CXR) was carried out on 134 patients with blunt trauma on the chest. Among 134 patients, 45 patients had normal initial chest roentgenogram and 24 patients showed normal CT findings. Sensitivities of diagnosing pneumothorax and pleural effusion by CXR were low (46.2 and 62.9% respectively), whereas 71.4%(45/63) of patients had thoracostomy only by CXR. Although sometimes abused, CT of the thorax is effective in the initial diagnosis.

초기에 외상성 뇌병변의 진단에 국한되었던 단층 촬영은 전산화 단층 촬영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흉부, 복부 및 척추, 그리고 안면부나 골반부의 외상에 의한 병변의 진단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1년간 응급실에 내원한 흉부외상 환자 중 흉부의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한 134명의 환자를 대 瓚막\ulcorner단순 흉부 엑스선 촬영의 결과와 단층 촬영 결과를 비교, 분석함으로 외상 환자에게 사용되고 있는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의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134명의 환자 중 45명은 단순 흉부 엑스선 촬영 소견이 정상인데 단층 촬영을 시행받은 환자였고, 이중 24명은 단층 촬영 결과 역시 정상 소견을 보였다. 단층 촬영의 기흉과, 혈흉을 포함한 늑막삼출에 대한 진단률을 100%라고 가정할 때 단순 흉부 엑스선 촬영의 기흉과 늑막 삼출의 진단률은 각각 46.2%, 62.9%로 낮은 진단율을 보였다. 전체 환자 중 흉관 삽관을 받은 환자는 63명이었는데 이중 45명(71.4%)이 단순 흉부 엑스선 촬영만으로 흉관 삽관을 결정한 환자여서 치료 방침의 결정에는 단순 촬영의 효용성이 다소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 흉부 외상에 대한 전산화 단층 촬영이 다소 남용되고 있음이 확인이 되었으나 단층 촬영은 소량의 기흉이나 종격동의 병변등, 임상적으로 중요하면서도 단순 촬영이 제공할 수 없는 병변의 진단에 결정적으로 유용하며 그 효용성 또한 높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J Emerg Med v.11 Ct detection of occult pneumothorax in multiple trauma patients Brideges KG;Welch G;Silver M;Schinco MA;Esposito B
  2. Chest v.100 Routine initial computerized tomography of the chest in blunt torso trauma Smejkal R;O'Malley KF;David E;Cernaianu AC;Ross SE
  3. Radiology v.195 Complications after emergency tube thoracostomy: assessment with ct Baldt MM;Bankier AA;Germann PS;Poschl GP;Skrbensky GT;Herold CJ
  4. Cardiovasc Intervent Radiol v.16 Diagnosis of posttraumatic pericardial tamponade by plain film and computerized tomography and control of bleeding by embolotherapy of the left inferior phrenic artery Jones BV;Vu D
  5. J Thorac Imaging v.2 Computerized tomography in blunt chest trauma Tocino I;Miller MH
  6. 대흉외지 v.28 흉부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한 혈흉의 정량분석 강청희;오중환;김은기;이종국(등)
  7. Radiology v.171 Chest injury in children with blunt abdominal trauma: evaluation with ct Sivit CJ;Taylor GA;Eichelberger MR
  8. J Cardiovasc Surg (Torino) v.31 Surgical experience with traumatic rupture of the thoracic aorta Kawada T;Mieda T;Abe H(et al)
  9. Ann Vasc Surg v.7 Use of ct for diagnosis of traumatic rupture of the thoracic aorta Tomiak MM;Rosenblum JD;Messersmith RN;Zarins CK
  10. J Emerg Med v.8 The normal mediastinum in blunt traumatic rupture of the thoracic aorta and brachiocephalic arteries Woodring JH
  11. Ann Emerg Med v.19 A pediatric survivor of left ventricular rupture after blunt chest trauma Mozzetti MD;Devin JB;Susselman MS;Lammert GR;Olshaker JS
  12. Radiology v.194 Diaphragmatic rupture: ct findings in 11 patients Worthy SA;Kang EY;Hartman TE;Kwong JS;Mayo JR;Muller N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