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in Hormone Concentrations during Late Pregnancy and Parturition in Korean Native Goats

한국재래산양에 있어서 임신말기 및 분만중 호르몬 농도의 변화

  • 권춘수 (경북 군위 대구동물병원) ;
  • 변명대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 Published : 1998.03.01

Abstract

Jugular plasma concentrations of luteinizing hormone, prolactin, estradiol-17\ulcorner and 13, 14-dihydro-15-keto-prostaglandin-F2봬(PGFM) were meausred prepartum during the last 12 days of pregnancy, at parturition, then 1 day after parturition in 16 goats. Plasma samples were analyzed for luteinizing hormone(LH), estradiol-17\ulcorner(E2), prolactin(PRL) and prostagladin F2봬(PGF2봬) concentrations by radioimmunoassay. 1. The concentrations of plasma luteinizing hormone in Korean native goats remained fairly constant(0.20 0.02\ulcorner0.38 0.04 mlu/ml) from 12 days prepartum to 1 postpartum but the concentrations of plasma prolactin rose slightly from 1 day prepartum. 2. The estradiol-17\ulcorner concentrations increased rapidly after day 1 before partum, reaching a peak at parturition(74.8 77.5 pg/ml), and falling to 63.8 2.8 pg/ml at day 1 postpartum. 3. Starting at 323.2 69.6 twelve days before parturition, the concentrations of plasma prostaglandin F2봬 rose during the 1 day preceeding parturition(650.7봬57.8 pg/ml) and peaked at 1081.4 164.9 on the day of parturition. At day 1 postpartum, the concentrations of PGF2봬 decreased to 425.3 60.4 pg/ml. Finally, these results show that changes in prostaglandin F2봬 concentrations before parturition were closely related to changes in estradiol-17\ulcorner concnetrations, but after parturition they remained elevated whereas estradiol-17\ulcorner concentrations fell abruptly.

본 연구는 한국재래산양 16두를 공시재료로 사용하여 분만전 12일부터 분만후 1일까지 경정맥의 혈장중 luteinizing hormone, prolactin, estradiol-17${\beta}$ 및prostaglandin F$_2$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재래산양에서 혈장중 luteinizing hormone외 농도는 분만전 12일부터 분만후 1일까지 0.20${\pm}$0,02~0,38${\pm}$0.04 mIU/ml의 범위로서 비교적 일정한 농도를 보였으나 prolactin의 농도는 분만전 12일부터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 분만 전, 후의 estradiol-17${\beta}$의 농도는 분만전 1일에 급증하여 분만시 784.8${\pm}$77.5 pg/ml로서 최고치에 도달하였으며 분만후 1일에는 63.8${\pm}$2.8pg/ml로 감소하였다. 3. 분만 전, 후의 prostaglandin F$_2$의 농도는 분만전 12일에 323.2${\pm}$69.6 Pg/ml로 분비가 시작하여 분만 전일에 증가하였으며 분만시 1081,4${\pm}$164,9pg/ml로서 절정에 도달하여 분만후 1일에 PGF$_2$의 농도는 425.3${\pm}$60.4pg/ml로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재래산양의 분만에 있어서 estradiol-17${\beta}$의 농도에서 증가와 연관하여 prostaglandin F$_2$의 농도는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