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삼 추출물에 의한 유전독성 감소효과 (I) - 배양 NIH3T3 세포에서 자외선에 의한 유전독성의 감소에 미치는 홍삼추출물 처리효과

Decrease of Genotoxicity by Red Ginseng Root Extract (I) - Decrease of UV -induced Genotoxicity by Red Ginseng Root Extract in Cultured NIH3T3 Cells

  • 김완주 (원광대학교 의약자원 연구센타) ;
  • 유병수 (원광대학교 의약자원 연구센타, 조선대학교 유전공학과, 서울대학교 분자생물학과, 소망화장품, 소망화장품, 소망화장품, 소망화장품)
  • 발행 : 1998.03.01

초록

자외선에 의한 유전독성의 감소에 미치는 홍삼추출물의 영향을 배양 NIH3T3 세포계에서 분석하였다. 자외선을 조사한 후 정상 배지에서 배양한 시간간격에 따라 세포의 생존률은 증가하였는데 홍삼추출물이 함유된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는 약 15%정도 증가한 생존률을 보였다. 자외선을 조사한 후 감소된 DNA복제가 정상배지 배양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정도도 홍삼추출물을 후처리할 경우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자외선 상해를 회복하기 위한 절제회복능은 홍삼추출물을 처리할 경우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절제회복과정 중 효소에 의한 절제단계가 홍삼추출물 처리에 의해 활성화됨을 단사절단 분석을 통하여 규명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홍삼추출물이 자외선 상해의 절제회복에 유의미한 증가를 보이며 따라서 유전독성을 감소시키는 항노화제로써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We have studied the effects of red ginseng root extract on the decrease of UV-induced genotoxicity in cultured NIH3T3 cells. The increase in survival and the recovery from DNA synthesis inhibition in UV-irradiated cells as a function of normal medium incubation time was potentiated by the presence of the ginseng extract. The extract also increased the UV-induced excision repair as determined by unscheduled DNA synthesis. The amount of UV-induced DNA single strand breaks that are accumulated by polymerase inhibitor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presence of the extra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d ginseng extract activates the incision/excision step of UV-induced repair and could be used as a reagent for protecting UV-induced genotoxicity and cytotoxicity.

키워드

참고문헌

  1. DNA repair and mutagenesis Friedberg, E.C.;G.C. Walker;W. Siede
  2. Adv. Radiat. Biol. v.7 Roberts, J.J.
  3. Crit. Rev. Biochem. Mol. Biol. v.28 Livneh, Z.;O. Cohen-Fix;R. Skaliter;T. Elizur
  4. Proc. Natl. Acad. Sci. USA v.76 Park, S.D.;J.E. Cleaver
  5. DNA repair Friedberg, E.C.
  6. DNA repair mechanisms and the generation of sister chromatid exchanges in human cell lines from xeroderma pigmentosum patients v.Ⅶ Cleaver, J.E.
  7. Cancer Res. v.33 Cleaver, J.E.
  8. Cancer Res. v.34 Regan, J.E.;R.B. Setlow
  9. J. Biol. Chem. v.257 Miller, M.R.;D.N. Chinault
  10. Biochem. Biophys. Res. Comm. v.104 Seki, S.;M. Ohashi;H. Ogura;T. Oda
  11. Life Sciences v.48 Park, J.K.;J.S. Lee;H.H. Lee;I.S. Choi;S.D. Park
  12. Planta Med. v.63 no.5 Kim, H.J.;Chun Y.J.;Park J.D.;Kim S.I.;Rho J.K.;Jeong T.C.
  13. In Vivo v.7 no.5 Kim, S.H.;Ho C.K.;Yoo S.Y.;Koh K.H.;Yun H.G.;Kim T.H.
  14. Planta Med v.57 no.2 Rhee Y.H.;Ahn J.H.;Choe J.;Kang K.W.;Joe C.
  15. Izv Akad Nauk Ser Biol v.1 Salikhova R.A.;Umnova N.V.;Fomina M.M.;Poroshenko G.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