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경부 선암종의 자기공명영상 소견

MR Imaging Findings of Uterine Cervical Adenocarcinoma

  • 김종철 (충남대하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발행 : 1998.06.01

초록

목적 : 자궁경부 선암종은 자궁경부 편평 세포 암종보다 림프절 전이와 국소적인 파급이 빨리 일어나고 5년 생존율이 낮으므로 임상적으로 선암종이 진단되었거나 의심될 경우에는 방바선학적 검사로 종양의 림프절 전이와 국소적인 파급을 세심하게 평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궁경부 선암조의 자기공명영상(MRI) 소견을 분석하려 편평 세포암종과 다른 특징이 있는지 알아보는 데에 있다. 대상 및 방법 : 병리학적으로 확진된 자궁경부 선암종 환자 21명 중 MRI에서 종양이 관찰되는 18명(조직학적 병기 : Ib 10예, IIa 4예, IIb 2예, IIIa 1예, IIIb 1예)을 대상으로 그 MRI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한 후, 최근에 연속적으로 입원하여 편평 세포 암종으로 확진된 40명의 환자로 구성된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1.5T의 MRI기기로 조영 전후의 T1강조 및 급속 스핀 에코 T2 강조 영상을 축상 및 시상면에서 얻었다. MRI에 나타난 종양의 최대직경, 위치, 신호강도 및 조영증강정도, 윤곽, 형태, 상하 침범 범위, 동반 질환 유무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 자궁경부 선암종의 최대 직경은 0.8-4.1cm(평균 2.2cm)이었고, 이 종양이 경관내막을 따라 위치한 경우가 9예이었다. 모든 선암종의 신호 강도는 T1 강조 영상에서 주위 자궁경부 간질과 비슷하였고 급속 스핀 에코 T2 강조 영상에서는 높았다(균질성 10, 비균질성 8). 모든 선암종은 gadolinium 정맥 주입시 모두 조영 증강되었다(균질성 6, 비균질성 12 : 높은 신호강도의 고리 2). 선암종의 윤곽이 매끈한 경우가 8예이었고, 불규칙한 경우가 10예이었다. 선암종의 모든 예에서 자궁경부의 하부가 침범되었는데, 이중에서도 상부까지 침범된 경우는 6예이었다. 선암종 2예에서는 MRI상 직경 1.5cm 이상의 골반강 림프절들이 관찰되었고, 1예의 MRI에서는 림프절이 관찰되지 않았는데, 병리 검사상 모두 악성으로 판명되었다. 2예의 선암종에서 자궁 유수증이, 1예에서 자궁 유혈증이 동반되었다. 이상의 소견을 편평 세포 암종의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대 선암종에서 경관내막형과 술통형이 더 많은 것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 자궁경부 선암종은 편평 세포 암종에 비해 경과내막형, 술통형이 많은 MRI 소견을 보였다. MRI에서 자궁경부암의 모양이 경관내막을 따라 술통형이거나 병기가 낮은데도 주위 림프절로 파급되는 경향을 보이면, 자궁경부 선암종을 의심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 Because adenocarcinomas of the uterine cervix have lower 5-year survival rate than squamous cell carcinomas due to early lymph node metastasis and local extension, scrutiny of lymph node metastasis and local extension by radiologic examination is necessary in case of clinically diagnosed or suspected adenocarcinom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whether there are specific findings of these tumors, compared with squamous cell carcinomas, through the analysis of magnetic resonance (MR) imaging findings. Materials and Methods : Of 21 pathologically proven cervical adenocarcinomas, MR imaging findings of 18 tumors (histologic staging : two Ib, four IIa, two IIb, one IIIa, and one IIIb)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40 wquamous cell carcinoma in consecutive patients as a control group. T1-wetighted and fast spin echo T2-weighted images were obtained on the axial and sagittal planes, using a 1.5-T MR scanner. The largest diameter, location, signal intensity and degree of contrast enhancement contour, shape and longitudinal extent of the tumor and associated findings on MR image were analyzed. Results : The largest diameters of cervical adenocarcinomas ranged from 0.8 to 4.1 cm(mean, 2.2 cm). Of 18 adenocarcinomas, nine were of endocervical type. All adenocarcinomas were isointense to surrounding cervical stroma on T1-weighted images and hyperintense(homogeneous in ten, inhomogeneous in eight) on fast spin echo T2-weighted images. Adenocarcinomas enhanced on contrast study in all patients (homogeneous in six, inhomogeneous in 12 with hyperintese enhnacing rim in two). Eight adenocarcinomas had smooth contours and ten had irregular ones. The shape of adenocarcinoma was irregular in eight patients, barrel shape in six, papillary/polypod in three, and nodular in one. All adenocarcinomas involved lower half of the uterine cervix and six tumors extended up to the upper half. Pelvic lymph nodes of more than 1.5cm in diameter in two adenocarcinomas pateints and no detectable small pelvic lymph nodes on MR imaging in one patient were pathologically positive. Hydrometra was associated in two adenocarcinomas patients, and hematometra in one patient. Compared with squamous cell carcinomas, more frequent MR findings of endocervical type and barrel shape in cervical adenocarcinoma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 Cervical adenocarcinomas had more frequent MR findings of endocervical type and barrel shape, compared with wquamous cell carcinomas. Adeno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may be suspected on MR imaging, when a cervical carcinoma is of barrel shape along the endocervical canal and tends to involve lymth nodes in earlier stag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