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추형 동맥류 모형에서 자기공명 혈관조영술의 신호강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f Signal Intensity of MRA in Flow Phantom of Fusiform Aneurysm

  • 한기석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및 의공학교실)
  • 발행 : 1998.06.01

초록

목적 : 저자는 생체의 방추형 동맥류를 단순화 시킨 비박동성 방추형 유체 모형을 이용하여 방추형 유체의 자기공명 혈과조영술의 신호강도를 분석하고 컴퓨터를 이용한 유체의 모의 실험과 비교하여 임상적으로 방추형 동맥류의 자기공명 혈관조영술의 신호강도의 해석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증류수를 유체로 이용한 비박동성 방추형 동맥류 유체 모형에서 3D TOF MRA를 촬영하여 영상을 얻고 각 영상에서 유체의 평균 신호강도를 측정하였으며, 컴퓨터에서 동일 형태의 방추형 유체를 모의 실험하여 유속의 분포, 방향을 얻어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자기공명 혈관조영술에서 방추형 유체의 유입부와 유출부의 신호강도는 균질한 신호 강도를 보였으나, 팽대부에서는 비균질한 신호강도를 보였으며, 유출부로의 이행부위에서는 중심부 저신호강도, 주변부 고신호강도의 과녁 모야으로 보였다. 방추형 유체의 평균 신호강도는 팽대부에서 서서히 감소하다가 유출부로의 이행 부위에서 급속히 감소하였다가 회복되어 유출부에서는 유입부와 같은 정도의 신호강도를 보였다. 컴퓨터를 이용한 모의실험에서 유입부와 유출부에서는 층류의 소견이었으며, 유입부 이행부위 빛 팽대부에서는 유속의 감소와 주변부로의 방향변화가 있었다. 유출부로의 이행부위에서는 유속이 급속히 회복되었고, 중심부분으로의 방향 변화가 현저하였다. 결론 : 방추형 유체는 자기공명 혈관조영술에서 유출부로의 이행부위에서 신호소실과 과녁모양을 보이며, 이는 급격한 유속증가 및 방향 변화에 따른 위상 전위 때문이다.

Purpose : Authors correlated the three-dimensional time-of-flight MRA signal intensity characteristics and flow profile simulated by computer in an experimental flow phantom model. Materials and Methods : The three-dimensional time-of-flight MRA was performed in a fusiform flow phantom and analyzed the flow signal. computer assisted flow simulation was performed in same flow geometry. The MRA signal intensity and flow velocity distribution and direction was compared. Results : The flow was depicted as homogeneous signal internsity in inlet and outlet area and inhomogeneous signal intensity in fusiform area. Typically, the flow was depicted as target appearance in transition area to outlet. Whereas mean signal internsity decreased slowly in fusiform area, it rapidly dropped and resumed in transition area to outlet. In computer assisted flow simulation, Whereas there were flow velocity decrease and flow direction change to peripheral in entrance to fusiform area, ther were rapid flow velocity resuming and flow direction change to central in transition area to outlet. Conclusion : The signal loss and target appearance in transition area to outlet is characteristic of fusiform flow. These signal changes correlate with abrupt flow velocity and direction change wel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