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제품개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부서간 협력요인에 관한 이론적 토대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Examination of the Impacts of the Cross-Functional Integration Factors upon the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 심종섭 (강원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 이문성 (강원대학교 경영학과)
  • Shim, Jong-Seop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Lee, Mun-Sung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98.12.31

초록

이 연구는 ${\ulcorner}$부서간 협력이 신제품 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이론적 모형${\lrcorner}$을 구축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에서 부서간 협력의 핵심요인으로는 ${\ulcorner}$구조적 요인${\lrcorner}$${\ulcorner}$하부 구조적 요인${\lrcorner}$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들 요인들이 부서간 협력의 어느 요소에 영향을 미치며, 나아가 신제품개발성과의 어느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체계화 모형화 시키는데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부서간 협력의 ${\ulcorner}$구조적 요인${\lrcorner}$으로는 부서간 직무순환제도, 문서공람제도, 회합의 정례화 등이 제기되었고, ${\ulcorner}$하부 구조적 요인${\lrcorner}$으로는 품질기능 전개(QFD), 컨커런트 엔지니어링(CE), 평가 및 보상시스템 등이 제기되었다. 그리고 이들 요인들은 부서간의 공동목표, 상호작용, 아이디어 및 정보 공유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이들 요인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신제품 개발성과의 내용이 크게 좌우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본 논문의 의의는 선행연구에서 간과되어온 부서간 협력의 ${\ulcorner}$하부구조요인${\lrcorner}$ 이 신제품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부각시키는데 있다. 다만 이 연구에서는 이론적 틀을 제공하는데 범위를 한정하였으며, 향후 실증연구를 통하여 관련 변수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검증을 할 예정이다.

The objective of our study is to build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examination of impacts of cross-functional integration upon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NPDP). For this purpose, we have concentrated our efforts on systematically delving into how cross-functional integration factors affect upon the interdepartmental cooperation and upon the NPDP while dividing those critical integration factors into the structural and the infra-structural ones. We have selected interdepartmental job-rotation, consigning of papers, and cross-functional teem meeting as structural cross-functional integration factors. On the other hand, we have chosen Quality Functional Deployment(QFD), Concurrent Engineering(CE), and Evaluation and Reward Systems as those infra-structural cross-functional integration factors. After identifying those integration factors, we have carefully search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integration factors and those cooperation variables (interdepartmental common goal, interdepartmental interactions, and common sharing of ideas and informations) to look into how they affect upon the NPDP. Among cross-functional integration and NPDP related studies, our study is the first to show systematically how strongly infra-structural integration factors affect upon the achievement of interdepartmental cooperation and the improvement of NPDP. Considering the limitation of our resources and time available for this research, we have limited our study to building only a theoretical framework for future empirical studies to look into how cross-functional integration variables are related with NPDP.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