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측브라켓 부착시 위치오차에 관한 연구

THE POSITIONING ERRORS IN BONDING LINGUAL BRACKETS

  • 최준규 (전남대학교 교정학 교실) ;
  • 황현식 (전남대학교 교정학 교실) ;
  • 김종철 (전남대학교 교정학 교실)
  • Choi, Joon-Kyu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Hwang, Hyeon-Shik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Jong-Chul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98.02.01

초록

본 연구는 설측브라켓 부착시 부착방법에 따른 위치오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교정환자 20명의 초진시 석고모형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초진모형의 각 치면에 긴밀하게 브라켓을 부착하는 방법, 치아재배열을 시행한 후 치면에 긴밀하게 부착하는 방법 그리고 치아재배열을 시행하고 이상호선을 제작한 후 브라켓을 결찰하여 부착하는 passive bracketing의 3가지 방법으로 브라켓을 부착한 후 각 방법으로 부착된 브라켓의 위치오차를 측정 및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도오차 분석결과, 치아재배열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 상악 제1소구치와 하악견치의 위치오차가 타 방법에 비하여 크게 나타났으며, passive bracketing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 상악 중절치, 하악 제1$\cdot$제2소구치에서 그 위치오차가 크게 나타났다. 2. 토크오차 분석결과, 치아재배열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 하악 제2소구치의 위치오차가 타 방법에 비해 크게 나타났으며 passive bracketing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 상악 전 치아와 하악 제1$\cdot$제2소구치에서 그 위치오차가 크게 나타났다. 3. 회전오차 분석결과, passive bracketing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 상악 중절치간, 하악 중절치간, 하악 측절치와 중절치 사이 그리고 하악 견치와 측절치 사이에서 그 위치오차가 크게 나타났다. 4. 내외오차 분석결과, 치아재배열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 상악 견치와 측절치 사이에서 위치오차가 타 방법에 비해 크게 나타났으며, passive bracketing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 상악 중절치간, 측절치와 중절치 사이, 제1$\cdot$제2소구치 사이, 하악 측절치와 중절치 사이, 견치와 측절치 사이에서 그 위치오차가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설측교정술의 경우 브라켓 간접부착 술식을 사용하더라도 상당량의 위치오차가 나타나며, 이는 passive bracketing으로 줄일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sitioning errors according to the method of bonding lingual brackets. Dental models of twenty orthodontic patients with malocclusion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positioning errors were measured on each model that brackets were bonded to. Three different bonding methods were used. For the first method the bracket was bonded intimately to the lingual surface of the model. For the second method, the bracket was bonded intimately to the lingual surface after setting up using articulator. The passive bracketing, bonding the bracket ligated first to ideal archwire, was used after setting up as the last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brackets bonded without setting up showed greater angulation errors in the upper 1st premolar and the lower canine than those in other bonding methods. The brackets bonded without passive bracketing showed greater positioning errors in upper central incisor, lower 1st and End premolars. 2. The brackets bonded without setting up showed greater torque error in lower 2nd premolar than those in other bonding methods. The brackets bonded without passive bracketing showed greater torque errors in all upper teeth, lower 1st and 2nd premolars. 3. The brackets bonded without passive bracketing showed greater rotation errors between upper central incisors, lower central incisors, lower lateral and central incisor, lower canine and lateral incisor. 4. The brackets bonded without setting up showed greater in-out errors between upper canine and lateral incisor than those in other bonding methods. The brackets bonded without passive bracketing showed greater in-out errors between upper central incisors, upper central and lateral incisors, upper 1st and 2nd premolars, lower lateral and central incisors, lower canine and lateral incis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large amount of positioning error in lingual brackets even by an indirect bonding technique, and it may be reduced by passive bracketing.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