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Coping Strategies on the Outcome of Stressful Life Events and Mental Health

삶의 사건에 대한 대응양식이 문제해결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이인정 (덕성여자대학교 인문사회과학부)
  • Published : 1998.11.25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ree issues in regard to the relationship among stressful life events, coping, successful outcomes,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The first issue was about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use among eight cop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type of stressful life events. The second issue dealt with the differences between those who achieved successful outcomes and those who did not in the use of coping strategies. The third issue was if the different use of coping strategies was related to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Stressful life events were divided into problems of four areas such as health, finance, family relations including well-being of family members, and work Coping was assessed by eight factors. The survey data collected from 221 community residing adults was used for analyses. Findings suggested that the level of the use of escape-avoidance was very low while the level of the use of planful problem solving, seeking positive meaning, self control, and accepting responsibility was high for all stressful life events. It was also found that in some stressful life events those who achieved successful outcomes used more planful problem solving, more seeking positive meaning and less escape-avoidance than those who did not achieve successful outcomes. Finally, for almost all of the stressful life events, the use of more planful problem solving was related to either higher level of life-satisfaction or lower level of depression while the use of more escape-avoidance was related to lower level of life-satisfaction and higher level of depre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implication for social work intervention was discussed.

본 연구는 성인들이 경험하는 삶의 사건의 유형별로 이들이 주로 사용하는 대응양식을 파악하고 이러한 대응양식들 중에서 어느 것이 문제해결 및 삶의 만족과 정신건강에 관련되는지 조사하였다. 삶의 사건은 건강문제, 경제적 문제, 가족문제, 직업문제로 구분되었으며 대응양식은 공격적 대응, 문제를 가볍게 간주하려는 대응, 자기통제, 사회적지지, 반성, 회피, 계획에 입각한 노력, 사건에 대한 긍정적 의미부여로 구분되었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25세 이상의 남녀 221명을 표본으로 T 검증, 상관관계 등의 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여러가지 삶의 사건들에서 공통적으로 회피의 사용정도가 매우 낮은 반면에 계획에 입각한 노력, 사건에 대한 긍정적인 의미 부여, 자기통제, 반성이 많이 사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몇몇 삶의 사건에서 문제를 만족스럽게 해결한 집단은 그렇지 못한 집단보다 계획에 입각한 노력과 긍정적인 의미부여를 더 많이 사용한 반면 회피는 더 적게 사용하였다. 셋째, 거의 모든 삶의 사건에 걸쳐서 계획에 입각한 노력으로 더 많이 대응했을수록 삶의 만족이 증가되거나 우울이 감소하였다. 반면에 회피를 더 많이 사용했을수록 삶의 만족은 저하되었으며 우울은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입각해서 건강문제, 경제적 문제, 가족문제, 직업문제와 같은 삶의 사건에 직면한 사람들로 하여금 계획에 입각한 노력과 사건을 긍정적으로 간주하는 대응을 사용하도록 하고 회피를 사용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실천적 함의가 제시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