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IABILITY OF LASER DOPPLER FLOWMETER IN PULP VITALITY TEST OF TEETH

치수생활력 검사 방법으로서 laser Doppler flowmeter의 신뢰도

  • Nam, Dong-Wo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J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Nam, Soon-Hyeu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남동우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영진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남순현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1998.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iablity of laser Doppler flowmeter on the permanent maxillary central incisors with open apex. Laser Doppler flowmeter and electric pulp tests were done in 35 elementary students aged between 8 and 9 years and 35 females and males aged between 23 and 24 years. Teeth with open apex were confined to root developmental stage 5 and 6 by Moorrees classification. The threshold of electric pulp tests was decided the time of tingling sensation. More than three different electric pulp tests applied on every teeth with more than 3 minutes interval between each teeth due to the false response. Laser Doppler flowmeter test stablilzation and observation stages took more than 5 minutes each LDF values and electric pulp test thresholds were analyzed with student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electric pulp test threshold on teeth with immature and mature roots showed 28.4% and 100% response respectively, and the the LDF values on teeth with immature and mature roots showed 100% response. 2. The EPT thresholds on teeth with immature roots were larger than thresholds on teeth with mature roots(p<0.01). 3.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LDF values on teeth with immature and mature roots.

미완성 치근을 가진 영구 중절치에 대한 치수생활력검사에서 LDF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8-9세의 취학 아동 35명을 대상으로 전기치수검사 및 LDF에 의한 치수생활력 검사를 시행하고 대조군으로 23-24세 성인 남녀 35명의 상악 영구중절치를 대상으로 동일한 검사를 시행하였다. 미완성 치근단을 가진 치아는 방사선 사진상 Moorrees 등의 연구를 참조하여 치근 발육 5 및 6 단계로 한정하였다. 전기치수검사는 최초의 감각이 나타나는 시기를 역치로 정하였으며, 대상 치아당 3회 이상 실시하였고, 위음성 반응의 가능성 때문에 검사간 간격은 3분 이상으로 하였다. LDF는 안정된 signal이 나타날 때 까지 5분 이상 관찰하였으며, 안정상태 도달 후 5분 이상 측정하였다. 모든 반응인자의 정규 분포를 확인한 다음, 대조 치아 및 시험 치아간 LDF 및 전기치수검사의 역치를 student t-test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1. 전기치수검사시 미완성 치근에서는 28.4%에서만 반응이 나타났으며, 완성 치근의 경우 100%에서 반응이 나타났고, LDF에 의한 검사시 미완성 치근 및 완성 치근 모두에서 100% 반응이 나타났다. 2. 완성 치근 및 미완성 치근을 가진 치아의 전기 치수검사 역치는 미완성 치근을 가진 치아가 큰 값을 나타내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1). 3. 완성 치근 및 미완성 치근을 가진 치아 사이의 LDF 수치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0.05).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