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지방 농경지 Bradyrhizobium japonicum의 질소고정잠재능

Symbiotic Potential of Bradyrhizobium japonicum Indigenous to Arable Land in Southern Parts of Korea

  • 강위금 (농촌진흥청 영남농업시험장)
  • Kang, Ui-Gum (National Yeong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 발행 : 1998.06.30

초록

콩 재배시 근류균의 합리적 이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남부지방의 평야지 밭토양과 논토양, 산간지 밭토양에 분포한 토착 Bradyrhizobium japonicum의 질소고정 잠재능을 상호 비교, 분석하였다. 토착 B. japonicum의 밀도는 산간 밭토양에서 $5.7{\times}10^4\;cells/g.soil$ 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평야지 밭$(5.0{\times}10^4\;cells/g.soil)$, 평야지 논토양$(4.0{\times}10^3\;cells/g.soil)$ 순이었다. 콩 개화기의 지상부 건물생산력과 수확기의 종실수량은 서로간에 고도의 상관관계$(P{\leqq}0.001)$를 보이면서 두 성분 모두 평야지 밭 >산간지 밭 > 평야지 논토양 순으로 높았는데, 평야지 밭토양 중에서는 남해토양과 선산토양이 건물생산면에서, 김해토양은 종실수량면에서 각각 우수하였다. 콩 개화기에 조사된 근류수와 근류무게의 물질생산 기여도는 지상부 건물중의 경우 근류수$(r=0.383^*)$ 보다 근류무게가$(r=0.439^*)$ 더 높은 값을 보였으나 종실수량에서는 근류무게$(r=0.449^{**})$ 보다 근류수가$(r=0.505^{**})$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근류무게당 지상부 건물중과 종실수량 성적은 평균적으로 단원콩에서 보다 남해콩에서 각각 1.7배와 1.4배 높은 변이계수를 보였다.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for suitable use of soybean-Bradyrhizobium japonicum symbiosis, on soybean cv. Danweonkong and Namhaekong the symbiotic potential of B. japonicum indigenous to plain upland (PU), plain paddy(PP), and mountainous upland(MU) soils in southern part of Korea were surveyed and discussed. Populations of B. japonicum in soils were the highest in MU soils with $5.7{\times}10^4\;cells/g.soil$ followed by PU with $5.0{\times}10^4$ and PP soils with $4.0{\times}10^3\;cells/g.soil$. Shoot dry weight at flowering stage and grain yields at harvesting stage, which mutually showed an high correlation $(P{\leqq}0.001)$, were high in the order of PU > MU > PP soil inocula. Amongst PU soils, Namhae acid Seonsan soils were prominent inocula for shoot dry weight and Kimhae for grain yields at P 0.05, respectively. In cases of nodule number and nodule mass surveyed at the flowering stage, shoot dry weight gave an higher correlation with the latter $(r=0.439^*)$ than the former $(r=0.383^*);$ grain yields with the former $(r=0.505^{**})$ that flue latter $(r=0.449^{**})$. In comparison with Namhaekong showed 1.7 and 1.4 fold higher values in shoot dry weight and grain yields per nodule mass, respectivel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