둥굴레의 종자(種子) 구조(構造)와 출아(出芽) 특성(特性)

Characteristics of Seed Structure and Seedling Development in Polygonatum odoratum Druce

  • Kang, Jin-Ho (Dept. of Agronom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im, Dong-Il (Dept. of Agronom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Ryu, Yeong-Seop (AGPC (R&D) Promotion Center for Agri., Forestry and Fishery) ;
  • Bae, Kee-Soo (Dept. of Agronom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Han, Kyung-Soo (Dept. of Agronom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98.06.30

초록

종자번식을 통한 다량육묘로 다량재배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둥굴레는 발아 과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다량육묘 또는 이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는 발아 과정을 체계적으로 자료화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둥굴레의 종자 구조와 유묘 출현 특성을 체계화하여 종자를 이용한 다량번식 체계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수행 되었다. 둥굴레 종자는 직생배주(直生胚珠)로서 경실(硬實)이었으며, 배는 linear형으로 종자의 중앙에 배열하고 있었다. 발아는 정단조직에 소주아(小珠芽)와 뿌리의 시원체(始原體)를 가지고 있는 배의 아래 부분이 신장하여 돌출하는 형태로 진행되었고, 배유의 저장 양분은 생장하고 있는 배가 배유를 잠식하는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었다. 배가 돌출한 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소주아(小珠芽)와 뿌리가 발달하고 형성된 소주아(小珠芽)의 정단에 상배축이 돌기하였다. 상배축(上胚軸)은 다량육묘에서 저온처리를 통한 휴면타파 처리 후에야 신장하기 시작하였으며, 출아 후 형성되는 단자엽과 초장은 출아 중의 광도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한편 재배 또는 가공에 이용되는 지하경은 소주아(小珠芽)가 최초의 조직으로 소주아(小珠芽)에 형성된 마디로부터 다음의 지하경이 분지되는 형태를 보였다.

Solomon's seal (Polygonatum odoratum) seedlings raised through its seeds can replace the rhizomes impelling higher cost for transplanting, This experiment was done to determine the seed characteristics and the germinating processes to give some information on bulk production of seedlings using the seeds. The external or internal morphology of seeds or seedlings grown in lab. or greenhouse was examined mainly with stereomicroscope. The external shape of Solomon's seal seed was hard seed-coat and orthotropous ovule with linear type embryo stretching to the center of seed. Germination proceeded through the several steps. The lower part of seed embryo having the primordia of bulbil and roots first grew before the bulbil and roots was developed from the primordia. The lower part of embryo was enlarged toward the endosperm of seed as soon as seed germinated. Then epicotyl was formed on the apex of bulbil. The epicotyl was elongated after at least 6-week chilling treatment for breaking its dormancy and the first leaf shape was affected by light intensity given during seedling emergence. The bulbil was the first organ of the rhizome used as tea or herb medicin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