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Virus Infection between Tissue-cultured Plants and Conventionally Propagated Plants of Rehmannia glutinosa $L_{IBOSCHITZ}$

지황의 조직배양묘와 영양번식묘의 생육 및 바이러스 감염도 비교

  • Published : 1998.03.31

Abstrac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ngth and width of leaf and number of leaves per plant between tissue-cultured plants and conventionally propagated ones but chlorophyll content increased in tissue-cultured ones. Percent of sprouting from planted root segment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issue-cultured plants, resulting in yield increase of more than 200% per 10a. Root thickness of tissue-cultured plants at the time of planting influenced percent of sprouting and yield. Plants with root diameter ranging from 3 to 6mm gave good yield. When virus infection was monitored with N. tabacum and C. amaranticolor as indicator plants, 100% infection occurred in vegetatively propagated plants and introduced plants from China. whereas plants obtained from apical meristem showed 0% and 40% to 45% infection in vitro plantlets and 1 year old plants in vivo, respectively. Tobamovirus and unidentified virus particles were detected in electron microscopy.

생장점 배양을 통하여 생산한 단양지방종 지황 (Rehmania glutinosa) 묘와 재래식 영양번식묘 간의 생장 및 수량 차이를 구명하고 바이러스 이병 정도를 조사하였다. 청주와 서천지역을 중심으로 생장특성을 비교해본 결과 엽장, 엽폭 및 엽수에 있어서는 조직배양묘와 재래 영양번식 묘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엽록소 함량은 조직배양묘에서 증가하였다. 입묘율과 식물체당 근중은 조직배양묘에서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10a 당 수량은 200% 이상 증가하였다. 조직배양묘의 입묘율 및 생산량은 $3{\sim}6mm$ 크기의 뿌리를 종구로 이용했을 때 증가하였다. 담배와 명아주를 지표식물로 이용하여 바이러스 이병 정도를 조사해본 결과 기내 조직배양묘에서는 증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며 조직배양 1년생 묘에서는 $40{\sim}45%$ 경미한 바이러스 이병 증상을 나타냈다. 그러나 재래영양번식묘와 중국도입종에서는 100%의 심한 바이러스 감염 증상을 보였다. 감염된 바이러스의 대부분은 Tobamovirus였으며 그외 미동정 바이러스도 관찰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