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stics of Illness Behavior in Patients with Somatization

신체화에 따른 질병행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 Song, Ji-Young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Yum, Tae-Ho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Oh, Dong-Jae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Cho, Seong-Wook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Donghae Young-Dong Hospital)
  • 송지영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염태호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오동재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조성욱 (동해영동병원)
  • Published : 1997.12.15

Abstract

Abnormal illness behavior in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s were known formed by their traditional disease concepts and somatization-prone socio-cultural factors. The authors evaluated the characteristics of abnormal illness behavior in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s(who had somatization) by using abnormal illness behavior questionnaire. Methods : 29 somatoform disorders(SD) and 57 disease controls were compared by clinical characteristics, severity of pain, state anxiety(by Spielberger's State & Trait Anxiety Inventory), depression(by Beck's Depression Inventory) and level of psychosocial stess(by DSM-III-R). The illness behavior was measured by illness Behavior Questionnaire(IBQ). Results SD group had longer period of somatic symptoms with less severity in pain. The degree of anxiety and depression were higher in SB compared with controls. However, the degree of psychosocial stress was almost same between both groups. In IBQ, SD showed higher scores in general hypochondriasis, disease conviction, and affective disturbance subscales compared to control group. Conclusion: High disease conviction and hypochondriacal nature revealed by IBQ seemed to be a role in making somatization by way of somatic focusing and hypervigilance. And those tended to lead patients visit hospital frequently and report various somatic complaints. Evaluating abnormal illness behavior in somatoform disorders would be not only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natures of somatoform disorders but also useful differentiating SD with other psychiatric conditions.

목적: 한국인의 질병행동 특성에는 전통적인 질병개념, 신체화경향 및 각종 사회문화적 요소와 복합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이에 신체화 기전을 근본으로 한 신체형환자의 질병행동의 특성을 파악하여 여기에서 얻은 결과를 향후 치료에 활용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환자군은 DSM-IV에 의거하여 신체형장애로 진단된 환자 29명이었고, 대조군은 질병대조군으로서 골절 및 급성질환에 의해서 수술받은 환자 57명으로 하였다. 양군에서 임상증상의 특성과 통증의 유무 및 통증정도측정(Visual Analogue Scale) 상태불안(Spielberger의 Anxiety State Inventory), 우울정도 측정(Beck's Depression Inventory), 스트레스정도(Psychosocial Stress Scale)를 재고, 그리고 질병행동의 특성은 질병행동 평가 설문인 illness Behavior questionnaire(IBQ)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신뢰도를 검증한 후에 검사도구로 이용하였다. 결과: 신체형장애 환자는 대조군에 비해 증상기간이 길고 (71.8+64.3개월), 나이가 많았으며(39.0+10.2세), 측정당시의 통증정도($1.0{\pm}2.0$, p<0.05)는 낮았다. 과거력상 신체질병이 상대적으로 많았고, 불안$(50.9{\pm}10.7)$과 우울정도(20.3+9.5)가 높았다. 그러나 스트레스의 정도는 비슷하였다. IBQ의 척도중에 건강염려증$(5.2{\pm}2.6)$, 질병확신(3.1+2.0) 그리고 정서장애 척도$(3.0{\pm}1.6)$는 환자군에서 의미있게 높았으나(p<0.05), 심리적인 관심 대 신체적인 관심, 감정억제, 부정 및 짜증 척도에서는 양군에서 비슷하였다. 결론: 신체형장애 환자는 병에 대한 두려움과 질병확신에 의해서 신체증상에 더욱 집중하며, 이는 과거의 신체질환 병력, 잦은 신체검사와 병원방문과 같은 행동특성과 관련된다. 이들이 급성 신체질환자보다 스트레스정도가 높지도 않으면서 불안과 우울의 정도가 크다는 것은, 신체형장애환자의 신체화기전에 정서장애가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 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행동증후군으로서의 신체형장애를 파악하는 데에 있어서 질병행동의 평가는 중요하며, 앞으로 한국어로 번역되고 신뢰도가 확립된 IBQ는 질병행동의 특성을 아는데 뿐만 아니라 신체형장애와 기타의 질환과 구별하는 도구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고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