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 생육중기(生育中期) 피발생(發生) 원인(原因) 및 이들의 밀도(密度)에 따른 쌀수량(收量) 감소(減少)

Reason of Late Establishment of Barnyardgrass and Their Density Effects on Rice Yield Loss

  • Seong, K.Y.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RDA.) ;
  • Lee, S.B.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RDA.) ;
  • Ku, Y.C.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RDA.) ;
  • Song, D.Y.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RDA.) ;
  • Huh, I.P.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RDA.) ;
  • Kim, Y.S.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RDA.)
  • 투고 : 1997.10.03
  • 발행 : 1997.12.30

초록

벼 생육중기(生育中期)에 발생하는 피의 발생(發生) 원인(原因)을 구명(究明)하고 이들의 발생밀도(發生密度)에 따른 쌀수량(收量) 감소정도(減少程度)를 추정(推定)하기 위해 1996년과 1997년의 2년에 걸쳐 시험(試驗) 조사(調査)한 결과 1. 1998년과 1992년 5만정보(町步) 이상(以上) 사용된 제초제(除草劑)들 중 이앙후(移秧後) 5일 이후에 처리하는 일발처리(一發處理) 제초제(除草劑)가 1988년 6%에서 1992년 52.5%로 급격히 증가(增加)하고 있었으며, 이들 일발처리제(一發處理劑)들의 제초제의 성분중(成分中)에서 피를 방제(防除)하는 제초제(除草劑) 성분(成分)은 그 함량(含量)이 1988년에 비해 1992년에는 41.7~87.5%에 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2. 기계이앙재배시(機械移秧栽培時) 벼 생육중기(生育中期)에 발생하여 벼에 영향을 주는 피는 거의 재생(再生) 피로 5월 10일 담수직파재배(湛水直播栽培)의 경우 0.5주/$m^2$, 5월 23일 기계이앙재배시(機械移秧栽培時)의 경우 2.0주/$m^2$, 그리고 6월 9일 만기(晩期) 기계이앙재배시(機械移秧栽培時)의 경우 13.3주/$m^2$가 발생(發生)하였다. 3. 1996년 및 1997년 5월 23일 기계이앙답(機械移秧畓)에서 조사한 피 발생주수(發生株數)에 따른 쌀수량(收量)의 관계를 보면 1996년에는 y=543.3 4.7x, r=0.9039 로 고도의 유의성을 갖고 직선적(直線的)으로 감소하고 있었으며, 피1주당 쌀수량(收量) 감소(減少)는 대략 0.9%정도이었다. 반면에 1997년에는 y=515.8 10.4x+0.066$x^2$, $R^2$=0.9532로 고도의 유의성을 갖는 이차(二次)항식을 보여주고 있으며, 피발생수에 따른 쌀수량 감소정도가 1996년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났다. 회귀식에 의하면 피발생수에 따른 이론적(理論的) 쌀수량(收量) 감소(減少)는 피 1주/$m^2$일 때 2%이었으며, 피 5주/$m^2$일 때 10%, 피 10주/$m^2$일 때 19%, 피 20주/$m^2$일 때 35%, 피 50주/$m^2$일 때 69%, 피 80주/$m^2$일 때 79% 감소(減少)한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The causes of late establishment of barnyardgrass and their density effect on rice yield loss were examined in 1996 and 1977. Herbicide application on 5 to 15DAT(Days after transplanting) increased from 6% to 52.5%, 1988 to 1992, and their ingredient amount for barnyardgrass control decreased to 41.7-87.5% in Korea. Most late establishment of barnyardgrass in machine transplanted rice field were not late germinated but revived ones. The number of late established barnyardgrass were 0.5, 2.0 and 13.3/$m^2$, on direct seeded at May 10, and machine transplanted May 23 and June 9, individually. Relation on rice yield and the number of barnyardgrass at machine transplanted field showed highly significant equation, as y=543.3 4.7x, r=0.9039 in 1996 and y=515.8 10.4x+0.066$x^2$, $R^2$=0.9532 in 1997. Theoritical yield loss by regress equation showed 2% per one plant of barnyardgrass per $m^2$ and 5, 10, 20, 50, and 80 plants of barnyardgrass decreased rice to 10, 19, 35, 69 and 79%, individuall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