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피(Echinochloa crus-galli)에 대한 벼품종의 알레로파시 잠재성 평가

Allelopathic Potential Evaluation of Rice Varieties on Echinochloa crus-galli

  • 정일민 (건국대학교 농과대학 식량자원학과) ;
  • 김광호 (건국대학교 농과대학 식량자원학과) ;
  • 안종국 (건국대학교 농과대학 식량자원학과) ;
  • 주호종 (건국대학교 농과대학 식량자원학과)
  • 투고 : 1997.01.03
  • 발행 : 1997.03.30

초록

본 실험은 allelopathic물질을 함유한 것으로 알려진 국내 재배벼(Nagdong 외 46종)의 왕겨와 잎의 조 추출액을 이용하여 제초활성 벼품종 선발과 천연식물성 제초제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피(E. crus-galli)의 발아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였다. 피 종자에 대한 발아율은 왕겨 추출액의 경우 남원벼가 36%, 계화벼가 38%의 발아율을 보였으며, 잎 추출액은 삼백벼 43%과 서안벼 46%로서 가장 큰 억제 작용을 보였다. 왕겨 추출액과 잎 추출액의 피에 대한 발아 억제 정도 비교 실험에서는 왕겨 추출액이 46%로서 잎 추출액 71% 보다 더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추출액의 농도처리 효과에서는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서 발아율이 억제되었고 왕겨 추출액의 발아억제정도는 연차간의 차이를 보였다.

Rice (Oryza sativa L.) contains water-soluble substances that inhibit the germination of Echinochloa crus-galli.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llelopathic potential of rice in which rice had been grown with E. crus-galli in the field. Extracts of forty-seven rice varieties were screened for allelopathic potential in the laboratory. Double distilled water was used as a control. Based on the germination percentage, the varieties may be classified in the following order of decreasing inhibition : Namweon(36%) and Gyehwa(38%) hulls extracts and Sambaeg(43%) and Seoan(46%) leaves extracts. In the comparison of allelopathic activity test between leaves and hulls extracts, hulls extracts contain more allelopathic toxic substances. In the effect of concentration treatment on the six levels of extract solutions(3, 6, 12, 25, 50, 100%, v/v) germination percentage was significantly inhibited as the extract concentration increased. The highest concentration(100%) caused the greatest reduction in E. crus-galli. Allelopathic potential effec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various varieties and between '94 and '95 year extract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genetic differences among varieties for allelopathic potentiality on E. crus-galli. Allelopathic potential in the ecological aspects can be decided through variety selection.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Kon-Kuk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