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linical Efficacy of Uvulopalatopharyngoplasty in the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 치료에서 구개수구개인두성형술의 임상적 유용성

  • Moon, Hwa-Si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Choi, Young-Me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Park, Young-Hak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im, Young-Ky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im, Kwan-H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Song, Jeong-Sup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Park, Sung-Ha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문화식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최영미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영학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 김영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관형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송정섭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성학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7.12.31

Abstract

Background : Uvulopalatopharyngoplasty(UPPP) has become the most common surgical treatment for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OSAS). However, the results of this therapeutic modality have been quite variable with successful results by several authors and poor results by others. Until recently, in Korea, there is only a few reports about the clinical efficacy of UPPP. A prospective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complications of UPPP. Method : Twenty-six OSAS patients who had undergone UPPP with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polysomnographic studie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wo definitions of surgical success were used. The responder was defined, using a conventional criteria, as a 50% or more reduction in apnea index(AI) or apneahypopnea index(AHI) after UPPP, or a postoperative AI of <10 or AHI of <20. The initial cure was defined, using our own criteria, as a postoperative AI of <5 or AHI of <10. Complications were categorized in two groups : early(disorders during the first 10 postoperative days) and late. Results : Eighteen patients(69.2%) were responders, and ten patients(38.5%) were considered as initial cure. On the other hand, in five patients (19.2%), postoperative polysomnographic data demonstrated deterioration compared with preoperative data. Reduction rate of AI or AHI following UPPP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reoperative body mass index, AI or AHI.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of sleep architecture before and after UPPP in responder and initial cure groups. Early complications such as pain, dyspnea, bleeding, nasal reflux, dysphagia or wound disruption were observed in all patients. Late complications such as nasal reflux, voice change, dysphagia, loss of taste, pharyngeal dryness or foreign body sensation were discovered in 22 patients (84.6%). However, all early and late complications were of minor importance. Conclusion : The response to UPPP was favorable in approximately 70% of OSAS patient. However, the initial Cure rate of UPPP was relatively low. We suggest that selection of more appropriate surgical candidates and adequate surgical protocol is necessary to obtain a more successful result with UPPP.

연구배경 : 구개수구개인두성형술(uvulopalatopharyngoplasty : UPPP) 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외과적 치료법이지만 치료 효과에 대하여는 논란의 여지가 많으며, 국내 연구 자료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방 법 : UPPP를 시행한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들 중에서 일차 추적 수면다원검사가 가능했던 26명을 대상으로 단기 치료 효과를 관찰하였다. 치료 효과는 두가지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첫 번째는 일반적인 평가 기준으로써, UPPP 시행으로 무호흡지수(apnea index : AI) 혹은 무호흡-저호흡지수(apnea-hypopnea index : AHI)가 50% 이상 감소한 경우 혹은 UPPP 시행 후의 AI가 10 미만이거나 AHI가 20 미만인 환자들을 효과가 있는 경우 즉 반응군으로 정의하였고, 두 번째는 저자들이 설정한 평가 기준으로써, UPPP 시행 전의 AI 혹은 AHI와 관계없이 UPPP 시행 후의 AI가 5 미만이거나 AHI가 10 미만인 환자들을 단기적으로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이 치유된 경우 즉 치유군으로 간주하였다. 비만도, AI 및 AHI와 UPPP 시행에 의한 AI 및 AHI 감소율과의 관련성을 관찰하였고, 수면 구조를 비교함으로써 UPPP의 시행으로 수면의 질이 개선될 수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UPPP 시행 후 10일 이내에 발생한 문제점을 조기 합병증으로 정의 하였고, 10일 이후에 발생한 부작용은 후기 합병증으로 분류하였다. 결 과 : 26명의 환자 중에서 반웅군은 18명(69.2%) 이었고, 10명(38.5%)은 단기적으로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이 치유된 소견을 보였으며 5명(19.2%)은 UPPP 시행 후에 AI 혹은 AHI가 오히려 증가되었다. UPPP 시행 전의 비만도는 AI 감소용 및 AHI 감소율과 상호 관련성이 없었고, UPPP 시행 전의 AI는 AI 감소율과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AHI 역시 AHI 감소율과 관련성이 없었다. 전체 대상 환자, 반웅군 및 비반웅군, 치유군 및 비치유군 각각에서 UPPP 시행 전후 수면 구조의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UPPP 시행에 따른 조기 합병증으로 비교적 심한 수술 부위의 통증, 음식물의 비역류, 기침이나 호흡곤란 등의 호흡기 증상, 수술 부위의 출혈, 연하곤란, 귀의 통증 혹은 봉합 부위 파열 등이 전체 환자(100%)에서 발생하였고, 후기 합병증으로 인후의 건조감, 비역류, 음성의 변화, 연하곤란, 인후의 이물감 혹은 미각변화 등이 22명(84.6%)의 환자에서 관찰되었으나, 합병증은 모두 경미한 것이었다. 결 론 :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의 약 70%가 UPPP의 시행으로 호전을 보이지만, 치료 효과가 충분한 경우는 약 40%에 불과하였다.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엄격한 기준에 의한 적응증의 결정과 더불어 적절한 수술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