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 관류주사검사상 폐동맥 색전증 소견을 보인 환자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f the Patients, in Whom Pulmonary Embolism was Suspected by Lung Perfusion Scan

  • 이귀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폐연구소) ;
  • 김재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폐연구소) ;
  • 박재석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폐연구소) ;
  • 유철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폐연구소) ;
  • 김영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폐연구소) ;
  • 심영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폐연구소) ;
  • 한성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폐연구소)
  • Lee, Gwi-La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ung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Jae-Yeo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ung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Jae-Su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ung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Yoo, Chul-G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ung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Young-Wh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ung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him, Young-S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ung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an, Sung-K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ung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1997.08.31

초록

연구배경 : 폐동맥 색전증은 여러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비특이적인 증상과 징후로 인하여 진단이 지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불행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고, 따라서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수적인 응급 질환이다. 폐관류주사는 이 질환의 진단에 유용한 검사법이며, 음성 결과는 이 질환을 배재시킬 수 있으나, 관류 결손이 언제나 배제시킬 수 있으나, 관류 결손이 언제나 폐동맥 색전증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폐관뷰주사검사의 해석에 있어 보다 유용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폐관류주사상 폐동맥 색전증소견을 보이는 환자들에 대한 임상적 고찰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방 법 : 1996년 1월 1일부터 1997년 7월 31일 사이에 서울대학교병원에 입원하여 임상적으로 폐동맥색전증이 의심되어 시행한 폐관류주사상 폐동맥 색전증의 소견을 보인 49예를 대상으로 그들의 임상기록을 통한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입원시 폐동맥 색전종이 의심되었던 환자군에서의 최초 임상 진단은 폐동맥 색전증, 심장 질환, 폐렴의 순이었으며, 입원 중 폐동맥 색전증의 발생이 의심되었던 환자군에서의 기저 질환은 약성 종양, 두강내 출혈, 패혈증, 전신성 홍반성 낭창 등의 순이었다. 유발 인자로는 수술, 악성 종양, 부동화, 결합조직 질환, 심장 질환, 고령(>70세), 임신 및 골반내 질환, 신장 질환 등의 순이었다. HPPE가 40예(26.8%), IPPE가 21예(14.1%), LPPE가 88예 (59.1%) 였고, 이 중 치료를 시행한 경우는 HPPE가 34예(85%), IPPE가 9예(42.9%)였으며, LPPE소견을 보인 환자 중 치료를 시행한 경우는 없었다. 치료로는 heparin과 warfarin을 선택한 경우가 39예(79.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색전 제거술 2예(4.1%), 혈전 용해제와 IVC filter가 각 1예 (2.0%)씩이었으며, 우강내 출혈(3예), 대량 출혈 (2예), 증상의 소실(1예) 등을 이유로 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경우가 6예(12.2%)였다. 추적 관찰은 34예(69.4%)에서 가능하였고, 이 중 재발은 5예(10.2% )에서 발생하였으며, 3예에서는 항응고제의 조기 중단에 의한 것이었고, 2예는 유발 인자의 재발에 의한 것이었다. 조사 대상 중 사망은 16예(32.6%)였으나, 이 중 폐동맥 색전증과 관련된 사망은 1예(2.04%)로 진단 후 혈전 용해제 투여 직전에 사망하였다. 결론 : 폐동맥 색전증 환자의 예후 개선을 위하여 증상 발생부터 진단까지의 소요 기간의 단축, 즉 이 질환에 대한 의심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Pulmonary Embolism can develop in variable conditions, and presents with nonspecific symptoms and signs. If diagnosis is delayed, it can be resulted in catastrophic results. Therefore, early diagnosis and adequate treatment is crucial in Pulmonary Embolism. Lung Perfusion Scan is useful screening test. Negative result can exclude pulmonary embolism. But, perfusion defects don't always mean pulmonary embolism. To find the better methods of interpretation of lung perfusion scan and To evaluate the clinical course and outcomes of the patients, in whom pulmonary embolism was suspected by lung perfusion scan, we reviewed the clinical records of 49 cases suspected by lung perfusion sca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1995 to July, 1996.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mpression of cases in which PE was present at time of admission were pulmonary embolism (63%), heart diseases (26%), and pneumonia (11%) in orders. Underlying diseases of cases in which PE developed during admission were malignancy (36.5%), ICH (22.7%), sepsis (13.7%), and SLE (9.1%) in orders. The predisposing factors were operation (20%), cancer (16%), immobility (16%), connective tissue disease (16%), heart dis. (10%), old age (10%), and preg/pelvic dis. (8%) The results, of lung perfusion scan were HPPE 40 cases(26.8 %), IPPE 21 cases(14.1%), LPPE 88 cases (59.1%), and cases(%) of treatment in these cases were HPPE 34 cases(85%), IPPE 9 cases(42.9%), LPPE 0 case(0.0%). Treatments were heparin and warfarin (69.5%), heparin alone (8.2%), warfarin alone (2.0%), embolectomy (4.1%), thrombolytics (2.0%), IVC filter (2.0%), and no treatment (12.2%) In 34 cases (69.4%), follow up could be done, and 5 cases were recurred (10.2%). The causes of recurrence was incomplete anticoagulant therapy (3 cases) and recurrence of predisposing factor (2 cases). Expired case due to pulmonary embolism was one who was expired just before trial of thrombolytic therapy. Conclusion : Efforts should be made to shorten the interval from onset of Sx to Dx, ie, high index of suspision.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서울대학교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