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eral Contents in Scalp Hair in Patients with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두발중(頭髮中) 일부(一部) 금속(金屬) 농도(濃度)와 인슐린비의존형(非依存形) 당뇨병(糖尿病)과의 관련성(關聯性)

  • Chung, Kyeong-Do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Ulsan Dongkang Hospital) ;
  • Kwon, Sa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Kim, Doo-He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정경동 (울산동강병원환경의학연구소) ;
  • 권삼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두희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1997.12.30

Abstract

To estimate association of minerals relating to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NIDDM) the contents of essential minerals and toxic heavy metals in the scalp hair were measured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1993 to June 1993. The cases were selected 69 (32 male, 37 female) from the patients who visited Kyungpook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1993 to June 1993 and 74 controls (47 male 27 female) from normal population. zinc, copper, manganese, lead, cadmium and aluminum were analyz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IL. 551).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In NIDDM group, mean contents of zinc and copper were $132.99{\pm}19.66$ ppm, $8.58{\pm}5.07$ ppm respectively; where as $152.51{\pm}46.15$ ppm, $12.48{\pm}6.56$ ppm in control group. The mean of above two mineral cont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p<0.01). But, in manganese the content of NIDDM group; $0.44{\pm}0.27$ ppm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0.34{\pm}0.18$ ppm(p<0.05). A thesis submitted to the Council of the Graduate School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 ements for the degree of Ph.D. in Medical Science in June 1994. The mean contents of toxic metals - lead, cadmium, aluminum - in NIDDM group were $10.04{\pm}4.60$ ppm, $0.57{\pm}0.12$ ppm, $11.31{\pm}3.98$ ppm; whereas $8.10{\pm}2.45$ ppm, $0.41{\pm}0.23$ ppm, $7.61{\pm}4.16$ ppm in control group. The mean of above three minera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p<0.01). Cadmium, zinc and copper were selec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with presence of the NIDDM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pper, zinc and cadmium may be associated with NIDDM.

두발의 중금속 성분분석을 통하여 필수 원소이외에 흔히 문제시 될 수 있는 유해중금속과 당뇨병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3년 3월부터 6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내과에 내원한 69명(남자 32명, 여자 37명)의 인슐린 비익존형 당뇨병(NIDDM)환자와 그 대조군으로 74명(남자 47명, 여자 27명)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필수원소인 아연, 구리, 망간과 유해중금속으로 연, 카드뮴, 알루미늄으로 함량분석을 원자흡광광도계(IL.551)로 분석하였다. 필수원소인 아연과 구리의 경우 대조군이 각각 $152.51{\pm}46.15$ ppm, $12.48{\pm}6.56$ ppm으로 NIDDM군의 $132.99{\pm}9.61$ ppm, $8.58{\pm}5.07$ ppm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망간의 경우는 당뇨군이 $0.44{\pm}0.27$ ppm으로 대조군의 $0.34{\pm}0.18$ ppm에 비해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유해중금속인 연의 경우 대조군의 $8.10{\pm}2.45$ ppm에 비해 NIDDM군이 $10.04{\pm}4.60$ ppm으로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고, 카드뮴과 알루미늄의 경우도 대조군의 $0.41{\pm}0.23$ ppm, $7.61{\pm}4.16$ ppm에 비해 각각 $0.57{\pm}0.12$ ppm, $11.31{\pm}3.98$ ppm으로 NIDDM군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당화혈색소치 및 당뇨병의 유병기간과 분석대상 원소의 함량과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혈중요소질소 및 크레아티닌과 분석대상 원소의 함량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대조군과 NIDDM군에 대해 실시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유의한 변수는 카드뮴, 아연, 구리 등으로 나타났다. 아연과 구리는 함량이 낮을 경우 당뇨병의 발생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카드뮴은 그 함량이 높을 경우 당뇨병의 발생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