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ng-Mu Lee Je-Ma and The Rising of Choi Moon-Hwan

동무(東武) 이제마(李齊馬)와 최문환(崔文煥)의 난(亂)

  • Park, Seong-sik (Department of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박성식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 Published : 1997.12.30

Abstract

Purpose : Dong-Mu(東武) Lee Je-Ma(李濟馬) was designated as a member of fifty persons 'The Wise Ancestors of Korean Culture and Art' in 1984 and the december of 1996 was appointed as 'The Month of Lee Je-Ma'. Though his achivements was valued like this, some historian criticized that he suppressed the righteous army. So this study was for clarifing the background, the motive, and the course of 'The Rising of Choi Moon-Hwan' occurred in Hamhung on february in 1896, and for the correct appraisement about this event. And also through this, author tried to make clear the origin of Lee Je-Ma's thought. Method : After studing the background of the end of Chosun dynasty and the righteous army in 1895(乙未義兵). Author made a comparative study through the historical materials of the goverment side, the Choi Moon-Hwan side, and the Lee Je-Ma side about 'The Rising of Choi Moon-Hwan' occurred in Hamhung on februrary in 1896. Results & Conclusion : The event occurred in Hamhung on february in 1896 was a part of rebellion of the righteous army in 1895 which had risen against The startling Occurrence of 1895'(乙未義兵) and 'The Royal Commands To Cut Off People's Hair'(斷髮令). Lee Je-Ma suppressed the Rising and put Choi Moon-Hwan in the prison, and which was criticized that he suppressed the righteous army later day. That time was a conflict period between conservatism and civilization, and the Lee Je-Ma's act was the best way to protect the security of residents from the attack which maybe occurred by Japanese army in Wonsan. Judging from this events, author could find Lee Je-Ma's thought was quite different from righteous army's neo-confucianism and conservatism. In the aspect of the history of 'Korean National Movement', further study about Choi Moon-Hwan, the chief of righteous army will be need.

연구 목적 : 동무 이제마는 1984 년에는 '한국문화예술선현(韓國文化藝術先賢)' 50인 중의 한 사람으로 지정되고, 1996년에는 12월이 '이제마의 달'로 지정되어 그의 업적을 기념하였으나, 일부 역사가는 그가 1896년 함경도(咸慶道) 의병장(義兵將) 최문환(崔文煥)을 잡아 가둔 인물이라 하여 그의 업적 평가에 문제를 제기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1896년 함흥에서 일어난 소요를 중심으로 당시의 시대 상황 및 발생 동기와 경과 과정을 규명함으로써 이 사건에 대한 정확한 평가(評價)를 내리고 이를 통해 이제마(李濟馬)의 사상적(思想的) 연원(淵源)을 연구하는데 단서를 찾고자 한다.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먼저 조선 후기의 시대적 배경과 을미의병에 대해 살펴 보고 1896년 (병신(丙申)) 함흥에 서 최문환을 중심으로 일어난 사건을 정부측(政府側) 기록, 의병(義兵)(최문환(崔文煥))측(側) 기록, 이제마측(李濟馬側) 기록, 그리고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이 나타나는 기타(其他) 사료(史料)들을 중심으로 비교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및 결론 : 1896년 2월 함흥(咸興)에서 일어난 혼란은 을미사변(乙未事變)과 단발령(斷髮令)으로 폭발한 을미의병운동의(乙未義兵運動)의 일환으로 최문환(崔文煥)이 중심이 되어 단발(斷髮)을 강요하던 관리(官吏)들을 살해한 사건이다. 이 때 이제마(李濟馬)는 최문환을 붙잡아 가두고 난(亂)을 진압하여 훗날 '의병을 탄압했다'는 비난을 받게 된다. 그러나 당시는 수구(守舊)와 개화(開化)가 충돌하는 시기였으며, 이러한 혼란으로 말미암아 있을 수 있는 원산(元山) 일본군(日本軍)의 공격으로부터 주민(住民)의 안전(安全)을 최우선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행동이었다. 이와 같은 행동을 근거로 보아 이제마는 유생의병(儒生義兵)들이 주장하던 위정척사(衛正斥邪)의 주자학적(朱子學的) 문화이념(文化理念)이나 복고주의적(復古主義的) 정치이념(政治理念)과는 다른 사상(思想)을 가지고 있었으며, 내면적으로는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향후 한국(韓國) 민족운동사적(民族運動史的) 측면(側面)에서 의병장(義兵將) 최문환(崔文煥)에 대한 좀 더 많은 연구(硏究)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