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양식과 혈압의 관련성

Association of Lifestyle with Blood Pressure

  • 주리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정종학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Joo, Re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Chung, Jong-Ha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발행 : 1997.09.01

초록

생활양식과 혈압의 관련성에 대해 조사하기 위하여 1996년 6월부터 9월 사이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산업의학과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사람 가운데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성실히 응답한 30세 이상의 성인 남녀 중 고혈압환자 130명(남자 97명, 여자 33명)과 정상혈압자 150명(남자 70명, 여자 8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조사한 고혈압의 위험요인들로 는 연령, 혈중 총 콜레스테롤, 공복시 혈당, 고혈압 가족력, 음주량, 흡연 여부, 식염의 섭취정도, 주중 육류 섭취 횟수, BMI, 하루 커피 음용량과 주중 규칙적인 운동 횟수가 포함되었다. 고혈압의 위험요인이라고 알려진 각 변수들의 단순 분석 결과, 남자에서는 BMI만이 유의한 차이가 있어, 고혈압군에서 비만인 사람이 더 많았다. 여자에서는 주당 육류 섭취 횟수만이 고혈압군과 정상혈압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으로 교차비를 구한 결과 남자에서는 공복시 혈당, 혈중 총 콜레스테롤, 고혈압의 가족력, 음주, 식염, BMI가 고혈압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커피의 음용 및 운동이 고혈압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변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공복시 혈당, 고혈압의 가족력, 식염 및 BMI였다. 여자에서는 고혈압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변수로서 혈중 총 콜레스테롤, 고혈압의 가족력, BMI, 육류 섭취가 있었고, 이 중 부모 중 한 쪽이 고혈압 환자인 경우, 부모 모두 고혈압 환자일 경우, BMI 및 육류섭취가 고혈압의 유의한 위험요인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여러 변수 중 BMI의 증가가 남녀 모두에서 고혈압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유의한 요인이었는데 BMI자체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혹은 생활양식을 추가한 연구 및 식이 섭취에 있어 용량-반응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객관적 방법을 통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며, 병원이 4.9% 감소하여 감소폭이 가장 켰다. 총 상병건수에서 고액진료건수가 차지하는 비율은 67.6% 증가하였고, 암환자건수는 8.9% 증가하였으며, 장기입원환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오히려 1.2% 감소하였다. 총 진료비 규모는 62.2% 증가하였으며, 고액상병진료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5년간 129.9% 증가하였고, 암환자 진료비는 68.5%, 장기입원환자의 진료비는 59.4% 증가하였다. 상병당 입원진료비 및 재원기간을 1989년 수가로 환산하여 변화 추이를 보면, 상병당 총 진료비는 매우 완만한 증가를 보이고, 약제비는 오히려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진료행위료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였다. 재원기간은 완만하게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연령구간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진료비와 재원기간과는 연령에 관계없이 비슷한 상관계수를 보였으나, 의료보험료 수준과 연령구간별 진료비는 상관계수는 매우 작았으며, 연령군별로 큰 차이는 없었다. 시계열 분석 결과 향후 약제비는 매우 완만한 감소 추세를 보일 것이고, 진료행위료와 총 진료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재원기간은 13.0일로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진료행위료의 증가가 총 진료비의 상승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첨단 의료기기나 신기술의 도입에 의한 것으로 의료기관들의 서비스 다각화 전략과도 관련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의료이용량 즉 입원상병건수의 증가가 진료비 상승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며 전체 인구 집단의 의료비 상승요인과는 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으므로 노인 인구에 대한 의료비 절감 대책은 다른 연령층과 구별하여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향후 노인 연령 군별 질병양상의 변화와 서비스량 및 변화에 대한 연구를 개인특성 자료나 의료기관의 특성 등과 연계하여 포괄적인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of various lifestyle with blood pressure.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individuals who got routine health examination in Department of Occupational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from June to September, 1996. Among these people, we selected 130 cases of hypertensives (97 males, 33 females) and 150 normotensives(70 males, 80 females) and study was conducted. The authors collected the information of the risk factors related to hypertension such as age,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 fasting blood sugar, serum total cholesterol, alcohol consumption(g/week), smoking history, relative amount of salt intake (low, moderate, high), the frequency' of weekly meat consumption, BMI, daily coffee consumption(cups/day) and the frequency of regular exercise(frequency/week) through questionnaire and laboratory test. By simple analysis, BMI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in male(p<0.05), and the frequency of weekly meat consump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in female(p<0.05).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 elevated odds ratio was noted for fasting blood sugar, serum total cholesterol,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 alcohol consumption, salt intake and BMI, and reduced odds ratio was noted for coffee consumption and exercise in male but fasting blood sugar(odds ratio=1.022, 95% CI=1.000-1.044), family history in both of parents(odds ratio=3.301, 95% CI=1.864-4.738), salt intake(odds ratio=1.690, 95% CI=1.082-2.298) and BMI(odds ratio=1.204, 95% CI=1.065-1.343)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In female, elevated odds ratio was noted in serum total choles terol,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 BMI and meat consumption. Of all these variables, the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 in either of parents(odds ratio=4.981, 95% CI=3.650-6.312), family history in both of parents(odds ratio=16.864, 95% CI=14.577-19.151), BMI(odds ratio=1.167, 95% CI=1.016-1.318) and meat consumption(odds ratio=2.045, 95% CI=1.133-2.963)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hypertension in female(p<0.05).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