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lity Analysis of Viscera of Alaska Pollack Treated on Vessel for Raw Materials of Changran-Jeotgal

선상에서 처리한 창란젓갈 원료에 관한 연구

  • LEE Won-Dong (Research Center of Hansung Enterprise Co., LTD.) ;
  • CHANG Dong-Suk (Dep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OH Byeong-Ho (Research Center of Hansung Enterprise Co., LTD.) ;
  • LEE Myung-Suk (Dept. of Microbi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JEONG Eun-Tak (Dep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이원동 (한성기업(주) 식품연구소) ;
  • 장동석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 고병호 (한성기업(주) 식품연구소) ;
  • 이명숙 (부경대학교 미생물학과) ;
  • 정은탁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97.03.01

Abstract

The study was attempted to detemine the ratio of stomach and intestine to viscera gathered on catching vessels, the critical level of VBN content as a freshness quality of viscera of Alaska pollack for raw materials of Changran-jeotgal. It also examined the changes of VBN values, pH and viable tell counts during the fermentation. Then sensory evaluation of the fermented products, Changran-jeotgal, was done according to the freshness of raw materials used. The ratio of stomach and intestine to the gathered viscera on the vessel was about $72\%$, while that of round state of Alaska pollack was about $18\%$.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in VBN content between fish muscle and viscera. It suggests that VBN content is not a reasonable freshness criteria in viscera but in fish muscle. However, if we use the VBN content as a freshness criteria of viscera for raw materials of Changran-jeotgal, less than $70mg\%$ of VBN value could be recommended.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product yields and sensory evaluation scores were no good not only for economical evaluation but also for consumption.

어획한 명태를 선상에서 가공할 때 부산물로 생산되는 선상창란을 대상으로 선도에 따른 제품의 관능검사와 제조과정 중의 수율을 조사함으로서 산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원료창란의 VBN판정기준을 설정하고 아울러 초기 VBN 값이 각기 다른 원료창란으로부터 젓갈숙성중의 VBN, pH, 그리고 생균수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선상에서 처리한 원료창란은 창란젓갈 원료가 되는 위와 창자의 비율이 $72\%$로서 시료명태 내장중 위와 창자의 비율인 $18.5\%$보다 약 4배정도 높았다. 2. 동일한 시료명태에서 백색육과 내장의 VBN을 조사한 결과, 내장의 VBN이 백색육보다 최소 2배에서 최대 14.2배였고, 명태육과 내장의 선도 사이에는 일정한 상관 관계가 없었다. 3. 원료창란의 VBN이 $70{\pm}2mg\%$ 이하인 경우 위와 창자만을 정선한 수율은 $52\%$ 이상이었고, 제품의 관능 검사 결과도 양호하였다. 그러나$ VBN\;80{\pm}2mg\%$ 이상인 경우 정선창란의 수율은 $43\%$ 이하였으며 제품의 관능검사 결과도 불량하여 유통상품으로서 가치가 적었다. 4. 원료창란의 $VNB\;35{\pm}2mg\%$$70{\pm}2mg\%$인 시료를 60일 동안 숙성시키면서 VBN, pH 및 생균수 변화를 조사한 결과, VBN은 $50.06{\pm}2mg\%,\;87.71{\pm}2mg\%로서 두시료 모두 숙성초기보다 각각 $15.06mg{\%},\;17.51mg{\%}$ 증가하였으며, pH는 숙성초기에 7.12와 7.44이던 것이 각각 6.22, 6.15로 감소하였고, 생균수는 초기균수 $3.4{\times}10^3\;CFU/g$$3.4{\times}10^4\;CFU/g$에서 각각 $2.8{\times}10^4\;CFU/g$$9.8{\times}10^5\;CFU/g$$1\~1.5-log-unit$가 증가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