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극전선의 영양염류 순환과정 II. 1995년 동계 입자태 유기탄소 및 유기질소의 분포

Regeneration Processes of Nutrients in the Polar Front Area of the East Sea II. Distribution of Particulate Organic Carbon and Nitrogen in Winter, 1995

  • YANG Han-Soeb (Department of Oceanograph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MOON Chang-Ho (Department of Oceanograph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OH Seok-Jin (Department of Oceanograph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LEE Haeng-Pil (Department of Oceanograph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97.05.01

초록

본 연구는 부경대학교 해양탐사선인 탐양호를 이용하여 1995년 2월 14일에서 17일까지 실시하였다 수온, 염분 및 용존산소를 이용한 T-S diagram 및 $T-O_2$ diagram 으로부터 수괴는 5개의 Type으로 구분되었다. 특히 T-S diagram에서는 잘 구분되지 않았던 Type IV와 Type V는 $T-O_2$ diagram에서 뚜렷이 구분되었다. 하지만 기존 수괴와 명확히 일치하지 않는 것은 본 조사가 동계에 실시되어 표층수온의 감소로 인하여 수괴의 수직혼합이 강하게 일어나서 생긴 현상으로 사료된다. 영양염류의 수괴별 농도분포를 보면, Type I, Type II, Type III은 서로 거의 비슷한 농도를 보였지만 Type IV에서 Type V로 갈수록 증가되었다. 그리고 동일 수괴에서 농도범위가 넓게 나왔는데, 이는 수온약층의 약화로 인하여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N/P ratio은 모든 water type에서 Redfield ratio 이하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질산염이 식물플랑크톤 성장의 제한인자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chlorophyll $\alpha$의 농도는 $0\~8\;{\mu}g/\ell$의 범위로, Type I에서 최대였고 Type IV와 Type V에서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입자성 유기탄소와 유기질소의 농도는 각각 $0.49\~20.03\;{\mu}g-at/\ell$$0.09\~5.34\;{\mu}g-at/\ell$ 범위로서, 수심의 증가에 따라 그 농도가 감소하고, 연안에서 외양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Water type별 농도는 Type I > Type II > Type III > Type IV > Type V의 순서로 수심의 증가에 따라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즉 이들 입자성 유기물질은 수괴별로 어떤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으며, 수심에 따라서 농도가 변화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POC/PON의 원자비는 3.23으로 Redfield ratio 이하로 나타났다. 이것은 POC보다 PON이 더 난분해성이라 침강하는 동안 POC는 분해되지만 수직혼합에 의해 PON은 다시 재부유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POC/chlorophyll $\alpha$의 평균값은 1962로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non-living detritus가 POC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chemical properties of water masses were investigated at 33 stations of the southeastern last Sea in February, 1995 on board R/V Tam-Yang. The water masses were not clearly distinguished due to the vortical mixing in winter. However, on the basis of the T-S and $T-O_2$ diagrams, water masses in the study area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Type I, Type II, Type III, Type IV, Type V). (1) $>9.0^{\circ}C,\;>34.35\;psu,\;5.08\~5.60m\ell/\ell$ at Type I, (2) $6.0\~9.0^{\circ}C,\;34.15\~34.35\;psu,\;5.60\~5.90\;m\ell/\ell$ at Type II, (3) $4.0\~6.0^{\circ}C,\;34.00\~34.15\;psu,\;>5.90m\ell/\ell$ at Type III, (4) $1.5\~4.0^{\circ}C,\;34.00\~34.05\;psu,\;5.40\~5.90\;m\ell/\ell$ at Type IV, (5) $<1.5^{\circ}C,\;34.05\~34.07\;psu,\;4.80\~5.40\;m\ell/\ell$ at Type V. In the vertical profiles of nutrients, the concentrations were very low in the surface layer and increased rapidly with depth. The highest concentrations occurred in Type IV, while the concentrations in Type I were the lowest. The N/P ratios were less than Redfield ratio, indicating that nitrogenous nutrients were the limiting factor tor phytoplankton growth. The concentrations of POC and PON were in the range of $0.49\~20.03\;{\mu}g-at/\ell\;and\;0.09\~5.34\;{\mu}g-at/\ell$, respectively. The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occured in the surface layer of inner shore, showing that the concentration at each water mass followed the order Type I > Type II > Type III > Type IV > Type V, respectively. The C:N ratio in particulate organic matter was lower than the values reported in other region due to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s of PON in the study area. Relatively high ratios of POC to chlorophyll $\alpha$ during the study periods indicate that non-living detritus comparised most of the POC in the study area.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