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in Clinical Laboratory Data between the Elderly and the Young Adults

노인군과 청장년군 간의 정상 검사치의 비교 분석

  • Lee, Kun-A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Keun-Mi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Jung, Seung-Pil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Bae, Seong-Wook (Department of Health Screening and Diagnosis Center,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이근아 (영남대학교 의료원 가정의학과) ;
  • 이근미 (영남대학교 의료원 가정의학과) ;
  • 정승필 (영남대학교 의료원 가정의학과) ;
  • 배성욱 (영남대학교 의료원 건강검진센터)
  • Published : 1997.12.30

Abstract

Due to the lowering of biological functions resulted from old age, the elderly is known to have many different clinical laboratory data compared with the young adults. But, in korea, such study is lacking.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lderly and the young adults, and also to know the sexual differences, by comparing the outcomes of the clinical. laboratory data. Along with that, it is to help clinical usage of the data in the future. The age of the elderly was between 60 and 83(average age 63.8), and that of the young. controls was between 20 and 35. In both sexes, MCV, MCH, ESR, CRP, AST, ALT, ${\gamma}$GTP, ALP, BUN, total 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lderly than in the controls. And lymphocyte count(%), total bilirubin, direct bilirubin, total protein, albumin, $T_3$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elderly than in the controls(P<0.05). Hemoglobin, Hct, platelet count, $T_4$ were significantly lower only in the male elderly, and eosinophil count(%), creatinine were significantly higher only in the female elderly(P<0.05). HDL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higher only in the male elderly(P<0.0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regarding WBC count, segment neutrophil count(%), monocyte count(%), TSH. Many clinical laboratory data are different between the elderly and the young adults, and some clinical laboratory data also have sexual differences.

노인의 정상 검사치를 청장년층의 정상 검사치와 비교하고 성별 차이를 파악하며 검사치를 노인병 진료에서 임상적 활용이 가능한 자료로 사용할 목적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영남의료원 종합검진센터에서 검진을 받았던 사람 중 만 60세 이상이며 검진 결과 건강하다고 판정된 617명의 피검자를 노인군으로 선정하였고, 동일한 시기 및 장소에서 검진을 받고 정상으로 판정된 20세이상 35세 이하의 피검자 1,791명을 청장년군으로 선정하였다. 평균 연령은 노인군은 63.8세(60세 - 83세)였고 대조군은 31.1세였다. 대조군에 비해 평균적혈구용적, 평균적혈구혈색소량, 적혈구침강속도, C-반응성 단백, AST,ALT, ${\gamma}$GTP, 알칼리성 포스파타제, BUN,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농도는 남녀 모두 노인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임파구(%), 총 빌리루빈과 직접 빌리루빈, 총 단백질, 알부민, 삼요오드타이로닌 농도는 노인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5). 혈색소도는 노인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5). 혈색소량, 혈소판, 티록신 수치는 남자 노인군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며, 호산구(%), 크레아틴닌은 여자 노인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고밀도 단백 농도는 남자 노인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 백혈구 수, 호중구 수(%), 단핵 세포구(%), 갑상선 자극 호르몬 농도는 남녀 모두 노인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에서의 임상병리 검사의 정상치는 청장년의 정상치와 차이가 나는 항목이 많은 것으로 생각되며 성별에 따라서도 큰 차이를 보이는 검사가 있었다. 노인병의 진료시 혈액, 생화학적 검사의 해석에서 이러한 차이가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앞으로 보다 많은 수의 대상 및 검사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고려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