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ng-term Effect of Desferrioxamine to rHuEPO Resistant Anemia in Hemodialysis Patients

혈액 투석 환자에서 나타나는 rHuEPO 저항성 빈혈에 대한 Desferrioxamine의 장기 효과

  • Lim, Sang-W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Jung, Hang-Ja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Bae, Sung-Wha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Do, Jun-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Yoon, Kyung-W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임상우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항재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배성화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도준영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윤경우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7.12.30

Abstract

There are several factors concerning to anemia in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s. But when rHuEPO is used, most of these factors can be overcome, and the levels of hemoglobin are increased. However, about 10% of the renal failure patients represent rHuEPO-resistant anemia eventhough high dosage of rHuEPO. For these cases, desferrioxamine can be applied to correct rHuEPO resistnacy, and many mechanism of DFO are arguing. So we are going to know whether DFO can be applied to correct anemia of the such patients, how long its effect can be continued. The seven pateients as experimental group(DFO+EPO) who represent refractoriness to rHuEPO and the other seven patients as control group(EPO) were included. Experimental group had lower than 9 g/dL of hemoglobin levels despite high rHuEPO dosage (more than 4000U/Wk) and showed normocytic normochromic anemia. There were no definitve causes of anemia such as hemorrhage or iron deficiency. Control group patients had similar characteristics in age, mean dialysis duration but showed adequate response to rHuEPO. DFO was administered to experimental group for 8 weeks along with rHuEPO(the rHuEPO individual mean dosage had been determined by mean dosage of the previous 6 months. Total mean dosage; 123.5 U/Kg/Wk). After 8 weeks of DFO administration, the hemoglobin and rHuEPO dosage levels were checked for 15 consecutive month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atients determined their own rHuEPO dosage levels according to hemoglobin levels and economic status. In conrol group, rHuEPO was administered by the same method used in experimental group without DFO through the same period. Fifteen months of observation period after DFO trial were divided as Time I(7 months after DFO trial) and Time II(8 months after Time I). The results are as follows: Before DFO trial, mean hemoglobin level of experimental group was 7.8 g/dL, which is similar level(p>0.05) to control group(mean Hb; 8.2 g/dL). But in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p<0.05) higher dosages of rHuEPO(mean; 123.5 U/Kg/Wk) than control group (mean; 41.6 U/Kg/Wk) had been used. It means resistancy to rHuEPO of experimental group. But after DFO trial, the hemoglobin level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increased significantly(p<0.05), and these effect were continued to Time II.(Time I; mean 8.6g/dL, Time II; mean 8.6g/dL) The effects of DFO to hemoglobin were continued for 15 months after DFO trial with similar degree through Time I, Time II. Also, rHuEPO dosages u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decreased to similar levels of the control group after DFO trial and these effect were also continued for 15 months(Time I; mean 48.1 U/Kg/Wk. Time II; mean 51.8 U/Kg/Wk). In the same period, hemoglobin levels and rHuEPO dosages used in the control group were not changed significantly. Notibly, hemoglobin increment and rHuEPO usage decrement in experimental group were showed maxilly in the 1st month after DFO trial. That is, after the use of DFO, erythopoiesis was enhanced with a reduced rHuEPO dosage. So we think rHuEPO reisistancy can be overcome by DFO therapy. In conclusion, the DFO can improve the anemia caused by chronic renal failure at least over 1 year, and hence, can reduce the dosage of rHuEPO for anemia correction. Additional studies in order to determine the mechanism of DFO on erythropoiesis and careful attention to potential side effects of DFO will be needed.

신 부전 환자에게 발생하는 빈혈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러나 rHuEPO를 투여할 시 이러한 요인들을 극복하고 빈혈을 교정할 수가 있다. 하지만 약 10%의 환자들에서는 고용량의 rHuEPO에도 불구하고 rHuEPO 저항성 빈혈을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DFO는 이러한 저항성을 극복할 수 있다고 하며, 이에 대한 기전은 아직 논란이 많다. 따라서 저자들은 DFO를 투여시 나타나는 여러 인자들을 고려해보고 기존의 보고보다 장기적인 관찰을 통하여 이러한 환자에게서 DFO가 빈혈을 교정할 수 있을지 여부를 알아보고 DFO가 rHuEPO 저항성 빈혈을 극복하는 기전을 추측해보고자 하였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투석실에서 투석을 시행하는 만성 신부전 환자 중 rHuEPO의 효과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7명의 환자가 실험군(DFO+EPO)으로 정해지고, 다른 7명이 대조군으로 선정되었다. 실험군은 주당 4000 U의 고용량의 rHuEPO에도 불구하고 혈색소치가 9 g/dL이하 이며 출혈이나 철결핍성 빈혈같은 뚜렷한 원인 없이 정구성 정색소성 빈혈을 나타낸 환자들이었으며 대조군은 나이, 평균 투석 기간에 있어서 대조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rHuEPO에 비교적 적절한 반응을 보이는 환자들이었다. DFO는 8주간 rHuEPO와 함께 투여 되어 졌고 rHuEPO의 사용 용량은 지난 6개월의 평균 용량과 같게 투여 되었다(평균 사용 용량은 123.5 U/Kg/Wk). 8주간 DFO가 투여된 후 15 개월간 혈색소치와 rHuEPO 사용 용량을 추적하였다. 이 15개월간은 각 개인의 혈색소치와 경제 사정에 의해 rHuEPO의 용량이 결정지어 졌다. 대조군에서는 같은 기간 실험군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rHuEPO가 투여되어 졌으나 DFO는 사용되지 않았다. DFO가 투여된 15 개월의 추적기간은 Time I(DFO투여후 7개월간)과 Time II(Time I 이후 8개월간)으로 나누었다. 성적은 다음과 같다: DFO 투여 전, 실험군의 평균 혈색소치는 대조군과(평균 8.2 g/dL) 같은 정도의(p>0.05) 수준인 7.8 g/dL 이었다. 하지만 rHuEPO의 사용 용량은 평균 123.5 U/Kg/Wk으로서 대조군의 그것(평균 41.6 U/Kg/Wk)보다 의미있게 많은(p<0.05) 용량을 사용하여 rHuEPO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DFO사용후 실험군에서 혈색소치는 의미있게 상승되었고(p<0.05) 이것은 Time II에 이르기까지 지속되었다(Time I; 평균 8.6 g/dL, Time II; 평균 8.6 g/dL). 즉, 혈색소치에 대한 DFO의 효과는 투여 후 15 개월간 Time I, Time II의 시기에 걸쳐 균등한 정도로 지속되었다. 또한 실험군에서 rHuEPO의 사용 용량은 DFO투여후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이것도 마찬가지로 15개월간 지속되었다(Time I; 평균 48.1 U/Kg/Wk. Time II; 평균 51.8 R/Kg/Wk. 한편, 같은 기간 대조군에서의 혈색소치와 rHuEPO사용 용량의 변화는 없었다. 특히, 실험군에서 혈색소치의 증가와 rHuEPO의 사용 용량의 감소는 DFO투여 후 1개월동안에 극대점을 이루었다. 즉, DFO 사용 후 감소된 rHuEPO사용 용량으로도 조혈 작용을 증강시킬 수 있었고 따라서 DFO를 사용함으로써 rHuEPO의 저항상을 극복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보다 대규모의 실험과 잠재적으로 위험한 DFO의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적절한 용량과 투여 방법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