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Volume 14 Issue 2
- /
- Pages.359-369
- /
- 1997
- /
- 2799-8010(eISSN)
Surface Marker Analysis in Acute Leukemias
백혈병의 면역학적 표지자검사의 결과분석
- Moon, Jin-Young (Department of Clinical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Chae-Hoon (Department of Clinical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Kyung-Dong (Department of Clinical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Chung-Sook (Department of Clinical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문진영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임상병리과학교실) ;
- 이채훈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임상병리과학교실) ;
- 김경동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임상병리과학교실) ;
- 김정숙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임상병리과학교실)
- Published : 1997.12.30
Abstract
We studied the expression of the cell surface antigen associated with myeloid and lymphoid leukemias on bone marrow or peripheral blood blast cells from 153 leukemic patients including 61 cases of acute myelogenous leukemias(AML), 46 of acute lymphocytic leukemias(ALL) and 12 of acute leukemias. They were analyzed by direct or indirect immunofluorescence method for reactivity with the monoclonal antibodies to B cells(CD10, CD19, SmIg), T cells(CD2, CD5, CD7, CD3, CD4, CD8), myeloid antigen(CD13, CD14, CD33, CD61) and a nonspecific antigen, HLA-DR. Lymphoid associated markers detected on AML is CD7 32.8%, CD10 14.8%, CD5 13.1%, CD2 6.6% and CD19 1.6%. TdT was positive in 4.9% of AMLs. Hybrid leukemias were 8 cases out 61 AML cases and were mainly composed of monocytic lineage, M4 and M5a. Myeloid markers detected in ALL were CD13 2.2% and CD33 2.2%. In this study, immunologically classified ALLs were composed of 65.2% of CALLA (+) B precursor type, 10.9% of CALLA (-) B precursor pattern, 8.7% of T cell type, 2.2% of B cell type, 4.5% of mixed lymphoid lineage(B&T), 2.2% of undifferentiated leukemia, and 6.5% of hybrid leukemia. Twelve cases of acute leukemias ware finally diagnosed to be 5 cases of hybrid leukemia, 3 cases of B lineage, 3 case of T lineage and 1 case of mixed lymphoid(B&T) leukemia. In summary, we think the best method for typing acute leukemias is by using a combination of FAB classification and immunophenotying.
저자들은 1993년 3월에서 1997년 9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임상병리과에 면역학적 표지자 검사가 의뢰된 153명의 백혈병 환자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여기에는 AML 61례, ALL 46례, FAB 아형이 확정되지 않았던 12례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EDTA 항응고처리한 골수나 말초혈액에서 단핵세포층을 분리한후 일련의 단클론항체와 FITC 표지 이차항체를 이용하여 면역형광염색법을 실시한 후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AML 61례에서의 비전형적인 표지자 표현 양상을 보면 CD7 32.8%, CD10 14.8%, CD5 13.1%, CD2 6.6%, CD4 4.9%, CD19 1.6%의 양성률을 보였고, TdT 양성은 3.9%였다. 혼성 백혈병으로 최종 진단을 내린 경우는 13.1%로 그 중 단구성 계열이 대부분(6/8)이었다. ALL 46례에서의 면역학적 검사에 따른 분류에 따르면 CALLA(+) B precursor형이 65.2%를 차지하였고, CALLA(-) B precursor형이 10.9%, T 세포형 8.7%, B 세포형 2.2%, 혼성림프구형(B&T) 4.3%, 미분화성 백혈병 2.2%였고, 혼성 백혈병으로 진단된 경우는 6.5%였다. 골수성 표지자 양성인 ALL은 CD13이나 CD33 양성인 례가 각각 2.2%였다. 급성 백혈병에서 골수형태와 세포화학검사로 FAB 아형을 확정하지 못한 12례에서 혼성 백혈병이 5례(41.7%)였고, 림프구 계열이 7례(58.3%)였으며 그 중 B 세포계열이 3례, T 세포계열이 3례, 혼성 림프구형(B&T)이 1례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는, 면역학적 표지지 검사로 더 정확하게 AML과 ALL을 감별할 수 있었으며, M0, M7 아형진단에도 도움이 되며, 형태학적, 세포화학적검사로 정확히 진단할 수 없었던 급성 백혈병의 분류에 도움이 되었다. 따라서 급성 백혈병의 진단을 위하여 FAB 분류 뿐 만 아니라 면역학적 표지자 검사를 함께 시행한다면 보다 정확한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