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Volume 14 Issue 1
- /
- Pages.183-196
- /
- 1997
- /
- 2799-8010(eISSN)
Effects of Ethanol on Neurobehavioral Performance
컴퓨터를 이용한 에탄올에 의한 신경행동기능 장애 평가
- Jeon, Man-Joo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SaKong, Jo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ang, Pock-So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Moon-Chan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Hak-Soo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전만중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사공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강복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문찬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
- 김학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 Published : 1997.06.30
Abstract
An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ubjects drank (0.5g/kg ethanol and performed 7 items of SPES(simple reaction time, color word stress, digit classification, finger tapping speed, numerical ability, symbol digit coding, memory digit span). 20 students of medical college participated in the study during August, 1996. After ethanol intake, performance of 4 items(simple reaction time, digit classification, finger tapping speed, symbol digit coding) significantly showed to be decreased. The function of perception-response speed and steady movement were found to be more sensitive to ethanol than that of short-term memory, numerical ability and specification of color. No significant association were found between smoking, alcohol drinking, BMI(body mass index) and the effects of ethanol on neurobehavioral performance.
유기용제가 신경행동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에탄올을 이용하여 저농도의 유기용제가 신경행동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신경행동기능 영역중 에탄올에 민감한 기능영역을 선별하기 위하여 실험연구를 시행하였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학생중 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신경행동학적 검사를 1996년 8월동안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체중 kg당 100% 알코올 0.5g을 섭취하고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단순반응시간, 색단어구분, 숫자구분, 손가락두드리기, 숫자더하기, 부호숫자짝짓기, 숫자외우기를 시행하였다. 알코올 섭취 전과 후의 신경행동기능의 변화량은 단순반응시간(반응시간 237.4 : 269 msec, p<0.01), 숫자구분(반응시간 490.4 : 553.9 msec, p<0.01), 우수의 손가락두드리기(반응시간 66.7 : 63.3, p<0.05)와 부호숫자짝짓기(반응시간 1958.7 : 2066.6 msec, p<0.05)에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였다. 평소 음주량이 많을수록 단순반응시간, 열수의 손가락두드리기, 부호숫자짝짓기에서는 반응시간이 길어지고, 우수의 손가락두드리기에서 두드린 수가 적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흡연량이 많을수록 열수의 손가락두드리기에서 두드린 횟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알코올의 급성폭로 후 나타난 결과로 만성적 폭로의 영향을 평가하는데 이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나 향후 유기용제의 만성효과에 관한 역학적 연구를 위한 신경행동학적 검사항목의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