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Childhood Attention Problem(CAP) Scale: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한국형 소아기 집중력 문제척도: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 Seo, Wan-Seok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Jong-Bum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Park, Hyung-Bae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Suh, Hyea-Soo (Department of Psychiatry, Bugok National Mental Hospital) ;
  • Lee, Kwang-Hun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SaKong, Jeong-Kyu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서완석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이종범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박형배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서혜수 (국립부곡정신병원 정신과) ;
  • 이광헌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사공정규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1997.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Korean form of Childhood Attention Problem(CAP) scale. CAP were administered to 98 norm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control group and 98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patients. Male students showed high scores than female students in both subscale and total scores,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P scale between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patients. In the reliability test, the test-retest reliability coefficient was highly satisfactory and that of inattention subscale was 0.83, impulsivity subscale was 0.70 and total score was 0.82. In the reliability test by internal consistency, the Cronbach $\alpha$ coefficient was highly satisfactory and that of inattention subscale was 0.91, overactivity subscale was 0.89(p<0.05). The concurrent validity between CAP scale and ADDES-BV scale was 0.85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patient group and 0.73 in normal control group(p<0.05). In discriminant validity test betwee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patient group and normal control group, the patient group showed higher score(p<0.05). The total discriminant capacity of the patient group in CAP was 93.4%. In this point of view, CAP scale showed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in applying to Korean subjects and was proved to be the good and simple screening test tool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research and can help many young patient to treat early.

주의력결핍과잉활동장애는 부주의성, 충동성, 과잉운동증과 이차적인 학습부진을 주요증상으로 하는 질환으로 전학령기 아동의 3-5%정도가 이런 문제를 보이고 있다. 또한 ADHD는 행위장애, 정동장애, 불안장애, 반사회적 인격장애 등 다른 질환과 공존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전통적인 진단방법은 시간과 경비가 많이 들고, 아동의 증상이 일관성있게 나타나지 않아 진찰실과 같은 상황에서는 과소평가되기 쉬운 단점이 있어, 객관적인 행동평가 방법과 시간과 경비가 적게 소요되면서 장애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에 저자는 1987년 Edelbrock에 의해 개발되어 미국내에서 이미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된 소아기 집중력 문제척도(CAP scale)의 한국형을 개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한국실정에서 ADHD를 선별할 수 있는 평가도구로 적합한지 여부와 ADHD연구목적에 사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본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은 환자군 98명과 정상대조군 98명으로 하였으며, 진단은 DSM-IV의 기준에 근거하였다. 문항번역은 2인의 신경정신과 전문의에 의해서 이루어졌으며, 혼동이 있는 용어는 피하여 완성하였다. 정상 대조군에서 과잉운동점수이외에 남녀간의 점수차이는 없었으며, 환자군에서도 남녀간의 점수차이는 없었다. 감별타당도에서는 환자군이 대조군보다 각 소척도 및 전체점수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본교실에서 한국형을 개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입증한 ADDES­HV척도와의 공존타당도 검사에서는 환자군에서 0.85, 대조군에서 0.73의 상관계수를 얻었다. 소척도에서 문항간의 내적일치도는 모두 0.4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주의산만 소척도와 과잉운동 소척도의 Cronbach의 ${\alpha}$는 각각 0.91, 0.89였다. 검사-재검사 신뢰도에서 주의산만 계수는 0.83, 과잉운동 계수는 0.70, 전체점수의 계수는 0.80으로 모두 만족할 만한 신뢰도 계수를 나타내 안정성이 입증되었다. 판별력 검증에서 정상대조군은 88.9%에서 정상으로, 환자군은 97.9%에서 환자군으로 판별되어 전체판별력이 93.4%로 나타났으며, Cmax 공식을 적용했을 때 86.8%의 판별력의 개선율을 보였다. Eigenvalue 1 이상을 요인추출의 기준으로 삼아 Varimax회전시켜본 결과 4개의 요인이 나왔으며, 각각 산만성요인, 과잉활동요인, 충동성요인, 학습장애요인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본 것처럼 ADHD의 독립된 평가도구인 CAP척도의 한국형이 한국인의 ADHD를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되었으며, 향후 ADHD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