잣나무 인공림(人工林)의 간벌계획(間伐計劃)에 관한 연구(硏究)(I)

A Study on Thinning Planning of Pinus koraiensis Stand(I)

  • 최인화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
  • 서옥하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 Choi, In-Hwa (College of Forest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Seo, Ok-Ha (College of Forest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97.06.30

초록

잣나무는 최근 10년간 우리나라 인공조림실적 중 31%를 차지하는 주요 조림수종이다. 현재 우리나라 산림(山林)은 대부분의 인공조림지를 포함하여 30년생 이하의 유령림(幼齡林)이 87%를 점유하고 있음에도 보육간벌은 거의 실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현실정에 적합한 잣나무의 보육간벌 지침도 충분히 확립되어 있지 못하다. 본 연구는 잣나무림의 장기적 보육간벌 시험을 통하여 장차 최적(最適)한 간벌계획(間伐計劃) 및 방법(方法)의 확립 에 기여하고자, 우선 강원대학교(江原大學校) 연습림(演習林)에 설정된 잣나무의 간벌시험지와 기존의 임분수확표를 대상으로 생장함수를 이용하여 잣나무의 생장과정의 변화 등을 분석 고찰하였다. 간벌과정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적인 단계로 생장과정을 표현하기 적합한 이론적 생장함수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Mitscherlich, 4 parameter Richards, 3 parameter Richards의 3종의 생장함수식(生長函數式)을 간벌시험지에서 채취한 임령 18년 전후의 공시목의 직경생장 과정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3변수 Richards 생장함수식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림청에서 작성한 잣나무 수확표의 직경과 수고생장, 입목본수의 감소 과정도 3변수 Richards 생장함수식에 의하여 적합하게 추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장래 단목의 간벌에 따른 생장의 변화과정을 추정하기 위해, 단목의 점유 면적에 관계하는 계수 h를 포함하는 생장(生長)모델을 제안하였다. 현재 설치된 간벌시험지에서 향후 일정간격으로 얻어질 간벌시험지의 직경생장 공시자료를 이용하면 계수 h를 추정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제안된 모델의 유용성을 검증, 보완한다면 단목의 생장과정을 사전에 유추하여 간벌의 효과를 표현할 수 있는 수식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inus koraiensis is one of the major speciese which have been recently planted for ten years and consists of 31% of total plantation. Presently young stand less than 30 years consists of 87% of total forest, but tending thinning of it is hardly carried out and the desirable direction for the thinning is not established yet.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introduce the optimum thinning plan and thinning method through the long-run experiment of tending thinning for the Pinus koraiensis stand. The experiments carry out to interprete its growth model on the subject of two thinning experimental plots and yield table of Pinus koraiensis. As the basic step for understanding the thinning process, a theoretical growth model which is suitable to express the growth process is required. For that purpose, three growth functions (Mitscherlich, 4 parameter Richards, 3 parameter Richards) are applied to the diameter growth of the sample trees which are taken in the two plots. The results show that 3 parameter Richards is the most suitable. It is also verified that the diameter growth, the height growth, and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stocks can be estimated by this function. To estimate the growth change of single tree, growth model including parameter h which is related to the occupation area of single tree are introduced. The parameter h can be estimated by using the data of the diameter growth obtained from the established experimental plots. Therefore, if both verification and modification of the usefulness of the model suggested is made, equations which tell about the thinning effects could be drived by estimating the growth process of single tree in advanc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