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CCl4-induced liver damage on the metabolism of toluene in rats

흰쥐에 있어서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 손상이 toluene 대사에 미치는 영향

  • Choi, Woo-Chang (Dept. of Public Health, College of Natural Science, Keimyung University) ;
  • Cha, Sang-Eun (Dept. of Industrial Safety and Hygiene, Andong College) ;
  • Yoon, Chong-Guk (Dept. of Public Health, College of Natural Science, Keimyung University)
  • 최우창 (계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공중보건학과) ;
  • 차상은 (안동전문대학 산업안전위생과) ;
  • 윤종국 (계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공중보건학과)
  • Published : 1997.05.08

Abstract

To evaluate an effect of pathological liver damage on the toluene metabolism, the rate were induced acute liver damage with 3 times $CCl_4$ injection (0.1 ml of 50 % in olive oil/100 g body wt.) three days. In the present animal molel, the injection of toluene(0.3 ml of 50 % in olive oil) showed the more decreased urine hippuric acid throughout 24 hr in the liver damage induced animals($CCl_4$-pretreated rats) than normal group. The activities of hepatic aniline hydroxylase, benzylalcohol dehydrogenase and benzaldehyde dehydrogenas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CCl_4$-pretreated rats than the normal group at 24 hr after injection of toluene. Furthermore, the benzaldehyde dehydrogenase in pooled liver of $CCl_4$-pretreated rats showed similiar $K_m$ value, but showed the more decreased $V_{max}$ value compared with the normal group by the injection of tolue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ats induced liver damage with $CCl_4$ may reduce the toluene metabolism.

흰쥐에 있어서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손상이 toluene 대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에 $CCl_4$를 투여한 후 간기능 검사와 병리 조직 검사를 통하여 간손상이 확인되었다. 이같은 간손상 모델 실험동물에 toluene을 투여한 뒤 24시간 후 처치한 다음 요 중 hippuric acid 함량을 측정한 결과, 간손상이 유도된 후 흰쥐에 toluene을 투여한 실험군에 있어서 요 중 hippuric acid 함량이 toluene만 투여한 군 보다 현저히 감소되었다. 이때 toluene 대사에 관여하는 간조직의 cytochrome P-450에 상응하는 aniline hydroxylase 및 aminopyrine demethylase 활성과 benzylalcoh이 및 benzaldehyde dehydrogenase 활성 역시 간손상이 유도된 흰쥐에 있어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benzaldehyde dehydrogenase 활성의 kinetics를 관찰한 결과, 간손상이 유도된 실험동물 및 대조군 모두 유사한 $K_m$치를 보였으나 $V_{max}$치는 간손상이 유도된 실험동물에서 낮게 나타났다. 이상 실험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CCl_4$에 의한 간손상시 toluene 대사가 억제되며 이는 toluene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단백합성 억제에 기인된 결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