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KING IN VIVO MODEL TO STUDY ABOUT HUMAN ORAL CANCER (I)

구강암 연구를 위한 동물실험모델의 개발(I)

  • Park, Hyung-Kook (Dep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 Kim, Yong-Kack (Dep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박형국 (원자력병원 구강악안면외과) ;
  • 김용각 (원자력병원 구강악안면외과)
  • Published : 1997.09.30

Abstract

In order to make in vivo model of human oral squamous cell cancer, we brought up BALB/C nude mice in specially designed housystem, and maintained some kind of human oral squamous cancer cell lines ; KB, SCC-4, SCC-9, SCC-15, SCC-25. Various concentration of cancer cells were inoculated subcutaneouly into flank area of nude mice. We observed each nude mouse more than 5 weeks after tumor inoculation. We appraised the results, measured the tumor size, and calculated the growing tumor volumes after tumor inoculation according to cancer cell line and concentration of cancer cells in media. Some cancer cell lines were rapidly growing in nude mice, but some cancer cell line couldn't grow in nude mice and resorbed completely. And in some cancer cell line, some nude mice showed continuously growing tumor, but other didn't show any tumor growing. And as a new try, we implanted specially disigned caps on the back of nude mice, and cancer cell lines were brought into the caps with media. We removed the cap after 1 week, and observed over 4 weeks. The shape and size of growing tumor were observed.

편평상피세포암종은 악성종양 중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암종이다. 하지만 편평상피세포암종의 세포주는 다른 악성종양에 비하여 아직까지 많이 개발되어지지 않았다. 또한 동물실험모델을 만들기 위한 이종이식에 있어서 편평상피세포암종은 매우 낮은 생착율을 보이고 있다. 구강암 중에서도 편평상피세포암종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나, 개발된 세포주는 그리 많지 않으며, 더 더욱이 동물실험 모델의 제작은 쉽지 않아, 새로운 치료 약제의 개발이나 치료 방법 개발 등에 많은 제약이 있어왔다. 본 실험에서는 수종의 구강 편평상피세포암종의 세포주를 배양하였고, 특별히 고안된 사육시설을 이용하여 BALB/C nude mice를 사육하였다. 여러 농도의 구강암 세포주를 nude mice의 등에 피하로 이식하였다. 어떤 세포주는 계속적인 성장을 보였으나 어떤 세포주는 완전히 흡수되기도 하였다. 5주 이상을 관찰하였으며, 이식된 종양의 크기를 측정하고, 부피를 계산하였다. 또한 또 다른 동물모델의 제작 방법으로서 특별히 고안된 cap을 nude mice의 등에 이식하고, 그 안에 구강암 세포주를 배지와 함께 이식하였으며, 1주 후에 cap을 제거하였고, 4주 이상을 관찰하였으며, 성장하는 종양의 모습과 크기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는 구강암 연구에 적절한 동물실험모델을 개발하여 다른 악성종양에 비해 동물실험적으로 연구할 기회가 적었던 구강암 영역의 연구를 활발히 하며, 향후 한국인의 구강암연구에 가장 적절한 동물실험모델을 개발하여, 보다 진보된 구강암 치료방법의 개발 및 신약 등의 개발에 이용하기 위함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