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OSTOPERATIVE CONDYLAR POSITION RELATED TO TEMPOROMANDIBULAR DISCOMFORT IN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하악지 시상 분할술에 있어 술후 하악과두의 위치와 측두 하악관절장애

  • You, Jun-Young (Dep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Kangnam General Hospital, Public Corporation)
  • 유준영 (지방공사 강남병원 구강악안면외과)
  • Published : 1997.06.30

Abstract

The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SSRO) of the mandible has used one of the most popula methods for the correction of various dentofacial deformities, especially mandibular prognathism. In SSRO, there are produced bony gap following mandible setback because of mandibular flaring. For this reason, the condylar axis may be changed due to bony approximation both segment in three dimension more mesio-laterally. According to change of condylar position, the condition of TMJ structure are changed and change of TMJ symptoms are suggested theoretically, and the correction of malocclusion by SSRO may improve the TMJ symptoms by improvement of feeding difficulties. The pu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relationship between expected alterations in condylar position and suggested TMJ symptoms produced by change of condylar position. TMJ symptoms of 15patients who had operated SSRO are checked at about postoperative 6 month ranging $5{\sim}11$ month. Anterior-posterior position of condyle which was comparison preoperative with postoperative position, was classified 5 groups. The author tried to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positional change of condyle and TMJ discomfort.

본 저자는 하악지시상분할법이 측두하악관절장애와 관련되어 교합의 개선과 과두의 위치적변화에 어떤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해 연구하고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측두하악관절증상은 약 80%에서 개선되었으며 이는 아마도 부정교합의 개선으로 일어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하악지 시상분할술에 있어 측두하악관절의 구조적 변화가 야기되는데 이것이 관절의 기능에 어떤 변화를 주어 측두하악관절증상과 관련해서 발생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단기 추적조사와 비교해 볼 때 장기추적조사 결과 하악두위치변화에도 불구하고 Range of adaptation이 환자 개개인에 존재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볼 때 경미한 측두하악관절증상을 동반한 하악전돌증환자에서 악교정수술을 시행함에 있어 개인의 하악두의 위치를 지켜주어 부정교합의 개선과 정상적인 관절기능을 유지시켜주는 것이 회귀성향과 관련하여 중요한 요소가 아닌가 생각되며 회귀성향과 하악두의 위치관계 또 측두하악의 증상등을 연관하여 더 진행된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려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