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Farming on Soil Contamination and Water Quality in Keum River Districts

금강유역 농업지대의 토양 및 수질오염

  • Han, Kang-Wan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Cho, Jae-Young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Seong-Jo (College of Life and Natural Resources, Wonkwang University)
  • 한강완 (전북대학교 농과대학) ;
  • 조재영 (전북대학교 농과대학) ;
  • 김성조 (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Published : 1997.03.31

Abstract

This studies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oil contamination and water quality affected by agricultural activities in the Keum river Districts. Soil pH of the Keum river districts were $5.56{\sim}7.09$ in Keum river headwater and Namdae-cheon but that of Keumgang-lake were $5.07{\sim}7.21$ because of the cattle shed and industrial complex around. Total nitrogen contents of soils were found difference as period of fertilizer application. Total phosphorous content of soils no difference were found between the headwater and Keumgang-lake. Heavy metal contents of soils were natural background level. Water pH of the Keum river districts ranged from 6.59 to 7.80 and COD was maintain below 1.0 mg/L. Total nitrogen content affected by a livestock wastes and sewage water were the higher than that of others and total phosphorous content showed below 0.5 mg/L. Nitrate nitrogen and ortho-phosphate contents were very high according to the influence a livestock waste and sewage water in headwater region of the Keum river partly. Chlorine and sulfate contents were high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sea water invasion. Heavy metal contents of waters were natural background level.

금강수계 상류 및 남대천 수계, 금강호유역 중에서 비교적 농업 활동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수도작지역과 복합영농지역의 토양 및 수질의 오염실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금강수계 토양의 pH는 비교적 산간지대로서 전형적인 농업지대인 상류와 남대천 수계의 경우 약 $5.56{\sim}7.09$ 수준이었으며, 대전공업단지와 농공단지가 주변에 산재해 있는 금강호 유역의 경우 $5.07{\sim}7.21$ 정도의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2. 호소에서 부영양화를 유발하는 영양염류 중 대표적인 전질소는 상류와 하류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질소질비료 시비시기와 부분적으로 배출되는 축산폐수의 영향을 받았으며, 전인산의 함량도 비슷한 경향이었다. 3. 금강수계 수질의 pH는 $6.59{\sim}7.80$으로 양호한 상태였으며, EC의 경우도 상류 및 남대천 유역의 경우 오염 물질의 유입이 적은 관계로 $15{\mu}S/cm$이하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대전공업단지와 부여${\cdot}$공주지역의 농공단지를 거쳐 하류로 유입되는 지점에서 $50{\mu}S/cm$이상을 유지하는 곳도 있었다. 4. 금강상류 및 남대천 수계의 수질 중 COD는 1.0mg/l이하로 상수원수 1급수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 금강호 유역에서는 큰 도시나 농공단지 등에서 배출되는 산업폐수와 생활하수의 유입으로 인하여 부분적으로 약간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대부분 2.0mg/l이하로 상수원수 2급수 수준을 나타내고 있었다. 5. 금강수계 상류와 금강호 유역 수질 중 질소원 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분얼비와 기비를 시비한 시기에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것으로 보아 질소질비료의 시비시기에 따른 강우에 의한 토양 유출수 중 영양염류의 집중관리가 수계로 유입되는 영양염류의 농도를 감소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6. 금강상류와 금강호 유역 수질 중 인산원의 농도는 전반적으로 0.50mg/l이하였으나, 금강호 유역은 대도시의 형성에 따른 가정하수와 농공단지에서 배출되는 산업폐수가 부분적으로 유입되는 일부 지점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7. 금강수계 상류와 금강호 유역의 토양과 수질 중 중금속함량은 불검출에서 자연함유량 수준으로 아직까지 오염의 우려는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