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flora of Daekwanryung Highland soil

대관령(大關嶺) 고령지(高嶺地) 토양(土壤)의 토양미생물상(土壤微生物相) 조사(調査)

  • Yun, Sei-Young (College of Life Science and Natural Resources SangJi University) ;
  • Kim, Jeong-Je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Yang, Jae-Wei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Jung, Young-Sang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Choi, Joong-Dae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윤세영 (상지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 김정제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양재의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정영상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최중대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Published : 1997.03.30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the soil microflora of Daekwanryung highlands of Kwangwon Province. It was found that soil microorganisms each as Bacteria, Actinomycetes, Fungi, Pseudomonas spp. and Erwnia sp. were mostly in the top 0-15 cm profile. It also was found that soil microflora population was affected in many ways by kind of cropping plant. The number of Erwinia sp. that is one of the soil born plant pathogenic bacteria was more abundant in potato field than chinese cabbage soil. It was also studied difference of mountain and grassland soils from cropping soils.

본연구는 대관령 고령지 토양의 토양미생물상을 조사한 것으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험예정지토양의 토양미생물상을 비교할 때 작물을 재배한 토양이 나지에 비하여, 세균, 방선균, 사상균등의 일반미생물수와 병원성세균인 Erwinia속의 미생물 공히 균수가 현저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표층토양과 심층토양의 미생물상을 보면 세균, 방선균, 사상균, Pseudomonas spp., Erwinia sp.등 모든 균종에서 표층토양에 현저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시험예정지 토양의 Pseudomonas fluorescens 및 P. putida균수를 보면 전체적으로 심토 보다는 표토에서 균수가 많은 것은 다른 일반 미생물의 경우와 같으나 배추재배 토양에 있어서 표토와 심토의 균수의 차이가 줄어드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감자재배토양에서는 표토와 심토의 균수의 차이가 더욱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나지토양에 있어서는 P. fluorescens는 표토에서 균수가 현저히 많았으나, P. putida는 표토와 심토의 균수차이가 크지 않았다. 3. 옥수수를 재배하는 인근 농가포장의 미생물상을 보면 배추와 감자를 재배하는 시험예정 지토양에 비하여 모든 균수에서 현저히 적은 것으로 나타나 작물의 종류에 따라서도 균수의 차이가 관찰되었다. 4. 산림토양의 Pseudomonas 속의 균수는 ${\times}10^4$ 범위에 있어서 초지토양이나 옥수수재배 토양보다는 균수가 적은 경향을 보였다. 5. 초지토양의 층위별 P. fluorescens 및 P. putida는 상층토양 (0-15cm)보다 중층토양(15-30cm)에서 균수가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하층토양(30cm이하)에서는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초지토양의 뿌리의 분포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6. 옥수수재배토양에서의 Pseudomonas속 균수의 범위는 $10-49{\times}10^4$(CFU/건토g)였으며 이것은 대체로 작물을 재배하지 않은 토양에 비해서는 균수가 많은 경향이었다. 7. 토양병원성세균의 하나로 배추나 감자의 무름병의 원인균과 동일한 속(屬)에 속하는 Erwinia속 균수의 범위는 $0-23{\times}10^3$(CFU/토양g)로서 감자재배토양에서는 다른 토양에 비하여 균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밖의 토양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교육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