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ree Phases and Water Characteristics of Horticultural Substrates

원예(園藝) 상토재료(床土材料)의 삼상(三相)과 수분특성(水分特性)

  • Jo, In-Sang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
  • Hyun, Byung-Keu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
  • Cho, Hyun-Ju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
  • Jang, Yong-Se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 조인상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
  • 현병근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
  • 조현준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
  • 장용선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 Published : 1997.03.30

Abstract

A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basic information in physical properties for selection and manufacturing the good seedling media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particle size, water retention and three phases of the major horticultural substrates. Easily available water(EAW), the water contents between 1kPa and 5kPa water potental, was highest in peatmoss with 39%, and perlite 34.0%, vermiculite 16.9%, but the values of osmunda and bark were lower than 4.8%. Water buffering capacity(WBC), the water content between 5kPa and 10kPa, was 6.1% in peatmoss and 2.3% in vermiculite but it was lower than 1.0% in other substrates. To adjust the suitable range of water potential at crossing point of water and air curves to 1.5~2.5kPa, more finer materials were needed in osmunda and bark, and more coarser materials must be added to peatmoss, perlite and vermiculite. Water potentials of substrates in saturated pot condition were equivalent to 2.2kPa in peatmoss and others were ranged in 1.0kPa to 4.3kPa of water potential in pressure chamber.

원예작물(園藝作物) 영농방식(營農方式)이 노지(露地)에서 시설재배(施說栽培)로, 직파(直播)에서 대규모 육묘재배(育苗栽培)로 전환됨에 따라 상토수요(床土需要)는 계속 증가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적정 물리성(物理性) 기준 설정이 미흡하여 새로운 상토재료(床土材料)의 선발(選拔)과 적정상토(適正床土)의 제조(製造)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시판(市販)되고 있는 주요 상토재료(床土材料)인 광물질(鑛物質) vermiculite 와 perlite, 유기재료(有機材料)인 peatmoss, osmunda 와 bark을 가지고 주요 물리성(物理性)인 입경(粒徑), 보수력(保水力)과 삼상(三相) 등을 조사(調査) 분석(分析)하였다. Peatmoss는 직경이 0.25mm 에서 16mm 까지의 입자들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나, bark는 5.7mm 이상의 입자가, osmunda는 2.0mm 이상, vermiculite는 1.0~3.4mm, Perlite 는 0.5~2.0mm 크기의 입자가 대부분이었다. 광질(鑛質)인 vermiculite와 perlite는 pH가 7.0 이상으로 높으나, 유기질(有機質)인 peatmoss는 pH 3.8 내외로 아주 낮고, bark와 osmunda는 pH 5.5 내외이었다. 수분장력 1kPa에서 5kPa 사이인 역용수분함량(易用水分含量)은 peatmoss가 39.2%, perlite 34.0%, vermiculite 16.9% 의 순이었으며, osmunda와 bark 는 4.8% 이하 이었으며 5kPa에서 10kPa 사이인 완형수분량(緩衡水分量) (Water buffering capacity)은 peatmoss와 vermiculite 가 각각 6.1% 와 2.3% 이었고, 나머지는 1% 미만으로 매우 낮았다. Osmunda와 bark는 수분의 감소곡선(減小曲線)과 공기의 증가곡선(增加曲線)이 만나는 최적수분장력이 0.64kPa, 0.73kPa로 쉽게 물이 빠지는 경향(傾向)이므로 적정치 2.5kPa에 접근시키려면 세립질(細粒質) 물질의 첨가가 필요하고, peatmoss, perlite, vermiculite는 이 값이 4kPa 부근이므로 더욱 조립질(粗粒質)의 재료(材料)를 혼합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Pot 상태에서 상토재료별로 물을 충분히 간직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수분장력은 peatmoss가 2.2kPa에 해당하였으며, 대체로 1kPa~4.3kPa 범위에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