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igation on Agricultural Land Use and Soil Characteristics along Bonghwang-cheon Watershed in Milyang

밀양 봉황천 수계지역의 토지이용현황과 토양특성

  • Lim, Dong-Kyu (National Yeong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RDA) ;
  • Kang, Hang-Won (National Yeong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RDA) ;
  • Jung, Yeun-Tae (National Yeong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RDA) ;
  • Park, Kyeong-Bae (National Yeong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RDA) ;
  • Park, Moo-Eon (National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Institute)
  • Published : 1997.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gricultural status and soil fertility of Bonghwang-cheon watershed area which is located at Chodong-myeon, Milyang-si. The acreage of arable land was about 1,209ha, and the population was 3,706 people. Out of total arable land, paddy was 64.4%, upland 19.6% and orchard 16.0%. Chicken was the largest in the number of livestock and poultry, but pig seems to contribute most severly to water pollution. The geology in the lower stream was alluvium but andesite and derivated materials from it were occupied most upland areas. Tuff was scattered in the small area near by the alluvium of Nakdong river, and diorite and granodiorite were located at the low hill and mountains respectivately. The principal paddy soils in the area were Geumgog, Jisan and Imgog series etc of fine loamy on sloped valleys and fans. The Pyeongtaeg series, fine silty family of imperfectly drained on plain was irrigated by Chodong reservoir. The clayey Honam series on alluvium was distributed along the low hill while Gyuam series, coarse silty alluvial soil way close to Nakdong river. In chemical properties of soils, the vinyl house soils were higher in EC, and orchard soils in OM, $P_2O_5$, exchangeable canons than other soils.

낙동강 수계의 오염을 방지하고 수계에 미치는 농업부문의 오염원을 파악해서 환경보전형 농업의 현장 적용모델을 얻고자 실시되고 있는 봉황천 수계지역에 대한 토지이용현황과 토양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구는 농가가 대부분(91.9%)이었으며, 주민수의 비율은 남녀 서로 비슷하였다. 경지면적은 논이 64.4% 밭과 과수원이 각각 19.6% 및 16.0%이었고, 작물별 재배면적은 벼>보리>시설원예작물 순이었다. 가축수는 닭이 가장 많았고 돼지, 한우, 젖소 순으로 적었으나 대가축단위(독일)로는 한우가 돼지보다 오히려 더 많았다. 2. 조사지역의 지질 및 토양모재는 봉황천 하류 농경지는 충적층이었지만, 기타 대부분 지역은 안산암 유래 곡간퇴적물이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었다. 낙동강 하류의 충적층과 인접한 곳에는 응회암이 적은 면적으로 산재되어 있고, 섬록암과 화강섬록암 등의 중성암도 일부 저구릉과 산악지에 분포되어 있었다. 3. 농경지 토양중 봉황천 상류에서 신월교까지의 곡간 및 선상지 등에는 금곡통, 칠곡통, 지산통, 임곡통이 대부분이었으며, 초동저수지 앞의 넓은 하성평탄지는 대부분이 평택통이었고, 저구릉지쪽을 따라 길게 호남통이 분포하며, 낙동강변은 규암통과 호남통이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었다. 4. 토양중 무기성분함량에서 하우스 토양은 전기전도도(EC)가, 과수원 토양은 유기물 유효인산 치환성 양이온이 다른 토양보다 높았다. 밭토양의 유효인산함량은 전국 평균치 및 개량목표치보다 각각 1.7배 및 1.9배 높았고, 비닐하우스 논토양은 적정치보다 치환성 마그네슘과 칼리함량이 약간 높았다. 과수원 토양은 적정치보다 유효인산이 3.7~7.4배, 치환성 마그네슘 및 칼리함량이 각자 1.1~1.8배 및 2.0~4.0배 더 높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