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rtical Distribution of Bulk Density and Salts in a Plastic Film House Soil

깊이별 용적밀도가 다른 시설재배지 토양의 염류분포

  • 김필주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 이도경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 정덕영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Published : 1997.09.30

Abstract

To investigate the salt accumulation in the plastic film house soils, bulk density, electrical conductivity(EC), exchangeable canons and water soluble anions were determined at different depths(0~60cm) in the salt-accumulated plastic film house soils in Yesan, Chungnam, Korea. Bulk density were increased from $1.2Mg/m^3$ to $1.5Mg/m^3$ as the depth changed from 0cm(top soil) to 30cm(subsoil) below the soil surface, whereas the bulk densities between 30cm to 60cm slightly decreased to $1.42Mg/m^3$. These changes of soil bulk densities might influence the porosity and pore size distribution, resulting in affecting the water flow throughout, soil layers. Electrical conductivity and Exchangeable sodium percentage(ESP) for 0 to 10cm soil layer were 5.08 dS/m and 6.4, respectively, while the EC was decreased to less than 1.63 dS/m in 20~30cm depth and about 0.7 dS/m. Salt accumulation patterns in the plastic film house soils might be influenced by the changes of the bulk densities in soil.

시설재배지내 염류집적의 원인중 토양의 물리적 구조변화가 염류집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10년이상 비닐하우스 농사를 실시해온 충남 예산군 오가면의 시설재배지 토양의 깊이 변화(0~60cm)에 따른 토양 용적밀도 변화와 염류집적 분포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시설재배지 토양의 용적밀도 분포특성은 경운층 이상에서는 용적밀도 약 $1.2Mg/m^3$, 경운층 이하(20cm)에서는 농기계의 반복사용에 의한 다져짐(Compaction) 발생으로 높은 용적밀도(약 $1.5Mg/m^3$)의 경반층(硬盤層)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로 인한 토양수의 수직이동의 지연과 표층토내 염류집적이 가속화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층토 10cm 이내의 전기전도도(EC)는 5.08 dS/m, pH 6.7, ESP 6.4로 US Salinity laboratory 분류에 의해 염류 집적지(Saline soil)로 분류되었다. 경반층(硬盤層)의 영향에 의해 EC값은 20cm 이후부터 크게 감소하여, 30cm 이후에서는 약 0.7 dS/m의 낮은 EC값을 보였다. 치환성 양이온과 수용성 음이온의 대부분은 표층토 20cm이내에 집적되었으며, 경반층(硬盤層) 층 이하에서는 미미한 농도의 이온만이 검출되었다. 시설재배지 토양내 EC 및 이온분포가 경운층 전후 사이에 큰차이를 보이게 하는 여러 요인들중 경반층(硬盤層) 형성에 의해 부분적으로 관여한 것으로 조사 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대산 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