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ERIA BUCHANAN 지역 FERRASOLS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과 수도생육

Characteristics of Ferralsols Soils and Rice Growth in Buchanan Region, Liberia

  • 조국현 (농어촌 진흥공사) ;
  • 김광식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 김용웅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발행 : 1997.06.30

초록

열대지방인 라이베리아 Buchanan 지역의 수도작 시범농장 건설사업의 설계 및 영농 기초자료를 제공키 위해 토양조사를 실시하여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과 수도재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Plinthite를 갖는 Oxic B 층위가 30cm 이상이며 토양층위가 불명료하고 표토층의 유기물 함량이 낮은 Ochric A층을 나타내며 토양배수가 양호내지 약간 양호한 사양질 토양이다. 토양분류상 Ferralsols로 분류 할 수 있다. Plinthite가 균일하지는 않지만 전 층위를 통해 발견되며 공기에 노출될 경우 매우 단단해져 ironstone이 되었으며 특히 심토가 표토에 노출될 경우 수 시간 내에 매우 단단해지는 토양특성이 있다. 답작지로 개발 후 써레질이나 경운 등을 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이다. Plinthaquox로서는 점토함량이 낮은 편인데 이는 흰개미에 의해 지표 이하의 미립질 토양이 이동하여 흰개미집을 짓는데 이용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심토에는 Lateritic gravel인 Plinthite가 5~30% 가량 함유되어 있으며 기층에는 석영이 많이 함유된 Plinthite가 50% 이상이나 된다. 유효 Fe농도가 표토층에서 230~330mg/kg이고 심토층에서는 급격히 높아져 최고 2,200mg/kg까지 함유되어 있었다. 따라서 철분 독성이 심각하였으며 벼 재배시 벼가 수일 내에 황화현상을 일으켜 고사하였다. 흰개미집이 조사지역 내에 1ha 당 평균 14개나 분포되어 있으며, 이를 시범포 전 면적에 살포될 경우 약 1.2cm의 객토효과가 기대된다. 주변 토양보다 pH, 질소, 유효인산, 치환성염기가 현저히 높고 특히 Ca함량이 2,900mg/kg이나 되었으며 주변에 비해 매우 양호한 식생상태를 보였다. 철분독성에 대한 내성은 전반적으로 한국품종에 비해 라이베리아 품종이 강하였으며, 한국품종은 한강찰벼가, 라이베리아 품종은 Nizersail과 Suakoko 8이 강하였다. 따라서 본 시범포에서는 이 품종들이 추천되었다. 분포면적 가중평균 삼투량은 8.3mm/day이고 침입량은 2~2.5mm/hr 토양투수성이 양호한 편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s and the rice growth at the pilot project rice farm of Buchanan city, Liberi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oils were classified as Plinthic Ferralsols. Real tropical soils had an oxic B horizon of 30cm thick with diffused horizon boundaries. The surface soils have Ochric A horizon with low organic matter. Plinthite was distributed throughout the whole soil profile unevenly. Exposed to sun light, Plinthite was dried out, hardened, and developed irreversibly into ironstone. There were 286 termite hills in 20ha in the project area. The pH value of the termite hill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rdinary soil two units. Soils of the termite hills had higher contents of carbon, nitrogen, available phosphate and exchangeable bases, especially calcium(2,000mg/kg). Available Fe contents was 230~330mg/kg in the surface soil, and 2,200mg/kg in the subsoil. This caused bronzing of rice in a few days after transplanting. The tolerance of Fe toxicity was lower in Korean cultivars than in Liberian cultivars. The tolerant cultivar was Hangang among Korean cultivars and Nizersail and Suakoko 8 among Liberian cultivars. Area weighted average percolation rate was 8.3mm/day and infiltration rate was 2~2.5mm/h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