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수조건에서 토양의 표면에 시용된 요소태 질소의 행동에 미치는 Methanol의 영향

Effect of Methanol on the Behavior of Urea-N Applied to the Soil Surface under Submerged Condition

  • 이상모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류순호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Lee, Sang-Mo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Yoo, Sun-Ho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97.06.30

초록

담수토양에서 이분해성 유기물 (methanol)이 표면에 시용된 요소로 부터 유래하는 요소태 질소 (Urea-N)와 암모늄태 질소 ($NH_4-N$) 및 질산태 ($NO_3-N$) 질소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토양에 요소를 $150kg\;N\;ha^{-1}$ (관행구)와 $300kg\;N\;ha^{-1}$ (배비구)의 수준으로 처리하고 이분해성 유기물인 메탄올 ($CH_3OH$)을 2, 4 및 8 ml 처리한 후 30일 동안 담수 항온시키면서 표면수와 토양의 pH, Urea-N, $NH_4-N$$NO_3-N$의 농도를 시간별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담수 10일째에 관행구와 배비구의 표면수에서는 Urea-N이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토양 중 Urea-N은 관행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배비구에서는 메탄올을 8 ml 처리한 경우에 담수 10일째에 $4.7{\mu}g\;g^{-1}$의 농도를 나타내었으며 그 이후에는 검출되지 않았다. 표면수의 $NH_4-N$ 농도는 무처리 0.5-3.5, 관행구 4.1-12.1 및 배비구 $7.2-20.5{\mu}g\;ml^{-1}$의 범위로서 배비구에서 가장 높았다. 무처리, 관행구 및 배비구 모두 메탄올 처리량이 증가할 수록, 담수시간이 경과할 수록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토양의 $NO_3-N$ 농도는 무처리 1.7-6.7, 관행구 2.2-7.3 및 배비구 $2.8-7.8{\mu}g\;g^{-1}$로서 거의 비슷한 농도를 나타내었다. 무처리, 관행구 및 배비구 모두 메탄을 처리량에 따른 토양의 $NO_3-N$ 농도의 큰 차이가 없었으며, 담수시간이 경과할 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표면수와 토양의 $NH_4-N$ 총량은 배비구에서 가장 많았으며, 무처리, 관행구 및 배비구 모두 메탄올 처리량이 증가할 수록 $NH_4-N$ 총량은 감소하였다. 담수시간 별로는 무처리 관행구 및 배비구 모두 담수 20일까지는 증가하고 그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으로서 토양의 $NH_4-N$ 농도변화와 관계가 있었다. 표면수와 토양의 $NO_3-N$ 총량은 무처리, 관행구 및 배비구 모두 메탄올을 처리하지 않은 경우와 메탄올을 2 ml 처리한 경우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메탄올을 4와 8 ml 처리한 경우에는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무처리, 관행구 및 배비구 모두 담수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NO_3-N$ 총량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The effect of easily decomposable organic carbon (methanol) application on the behavior of nitrogen derived from surface-applied urea in submerged soil was investigated. Two rates of urea (150 & $300kg-N\;ha^{-1}$) and three levels of methanol (2, 4, 8 ml) were applied to 10 g soil samples. The samples were incubated for 30 days under submerged conditions. The flood water and the soil were sampled for analysis of urea-N, $NH_4-N$ and $NO_3-N$ every 10 days. Urea-N in flood water and in soil at the rate of $150kg-N\;ha^{-1}$ and that in flood water at the rate of $300kg-N\;ha^{-1}$ were not detected but the urea-N concentration in soil at the rate of $300kg-N\;ha^{-1}$ with 8 ml methanol treatment was 4.7 on the 10th day from incubation. $NH_4-N$ concentrations in flood water and in soil increased with increasing urea application rates whereas they decreased with increasing methanol treatment. $NO_3-N$ concentration in flood water and in soil were similar regardless of the urea and methanol application rates. The total amount of $NH_4-N$ in flood water and in soil decreased with increasing methanol treatment, 0 ml & 2 ml, whereas the total amounts of $NO_3-N$ in both flood water and soil increased slightly at higher rates of methanol treatment, 4 ml & 8 ml. The total amount of $NH_4-N$ in both flood water and soil increased up to 20 days of incubation whereas that of $NO_3-N$ in flood water and in soil decreased over incubation tim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