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terations of Zonulae Occludentes in some Different Conditions of Bile Canaliculi

상태의 차이에 따른 담세관 주위 폐쇠띠의 변화

  • Shin, Young-Chul (Department of Anatom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신영철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Published : 1997.09.01

Abstract

Liver tissues were taken from rats 20 min after administration of dehydrocholic acid and biligrafin, fasted for 8 days, and bile duct ligation for 48 hr. And the zonulae occludentes around the bile canaliculi were investigated by the freeze fracture method. In the normal rats, the zonulae occludentes showed networks consisting of one to four strands in many regions. After administration of dehydrocholic acid, the depth of zonulae occludentes were increased and networks consist of six to nine strands. The zonulae occludentes, however, were disorganized, and strands were reduced after administration of biligrafin. In the fasting rats, the zonulae occludentes showed one or two strands which were loosely linked. After ligation of bile duct, the zonulae occludentes were disorganized, and strands were reduced or still in a state not to be reduced. The strands were interrupted by gaps or linear particles in all the groups, especially in the biligrafin and the ligation. The free ends were remarkable in the fasting group and contact or surround the lateral gap junctions in the dehydrocholic acid group. The discontinuities and free ends of strands were also encountered in the normal group, thus suggesting that the barrier is not complete even in the normal state. The aggregation of particles appeared within the meshwork of zonulae occludentes in all the group, except for the ligation. From the evidence, it is assumed that zonulae occludentes are labile, differ in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bile canaliculi and show regional alterations even in the same bile canaliculi, that zonulae occludentes are affected by mechanical stress or certain other factors, an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strands and particle aggregations in association with the alteration of zonulae occludentes.

본 연구에서는 dehydrocholic acid와 biligrafin 투여 20분 후, 기아 8일 후 및 담관결찰 48시간 후의 흰쥐 간을 동결할단하여 담세관 주위 폐쇠띠의 미세구조를 관찰하였다. 정상대조군에서 폐쇠띠는 여러부위에서 $1\sim4$개의 줄로 이루어진 망상구조를 보였다. dehydrocholic acid 투여군에서는 폐쇠띠의 폭이 넓어져서 망상구조의 줄은 $6\sim9$개로 증가된 부위가 많이 나타났다. 그러나 biligrafin 투여군에서는 줄이 감축되어 있었으며 망상구조는 흩으러져 있었다. 기아군에서는 많은 부위에서 폐쇠띠가 $2\sim3$개의 줄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이들 줄은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결찰군에서도 많은 부위에서 폐쇠띠의 망상구조는 흩으러져 있었으며 줄들이 감축되어 있거나 아직 감축되지 않은 상태로 있는 부위도 관찰되었다. 그러나 모든군에서 줄들은 틈을 보이면서 단절되어 나타나거나 선상으로 배열된 입자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특히 biligrafin군과 결찰군에서 이러한 소견이 현저하였다. 줄의 끝이 유리되어 있는 것들은 기아군에서 많이 관찰되었는데 dehydrocholic acid군에서는 줄의 끝이 교통반에 접해 있거나 그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것들을 많이 볼 수 있었다. 줄들이 불연속적으로 나타나거나 끝이 유리된 것은 정상군에서도 드물지 않게 관찰되었다. 결찰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서 담세관 주위 폐쇠띠가 그망안에 입자의 집괴를 함유하고 있었다. 이상의 증거로 미루어 담세관 주위의 폐쇠띠는 담세판의 상태에 따라 쉽게 변하는 것 같이 보이며 같은 담세관에서 일지라도 부위에 따라 구조적 변화에 차이가 있는데 이러한 소견은 정상상태하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어 폐쇠띠가 완전한 장벽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지 않는 경우도 있는 것 같이 보인다. 또한 폐쇠띠는 기계적 자극이나 다른 어떠한 인자에 의해서 쉽게 영향을 받는 것 같이 보이며 폐쇠띠의 변화에 연관하여 줄과 입자의 집괴 사이에도 어떠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