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 "III. 우주" 단원의 개념도 작성

Concept Mapping Based on Chapter "III. Universe" of High School Earth Science Textbook

  • 발행 : 1997.12.30

초록

개념도는 학습내용에서 주요 개념들을 추출하여 위계적으로 배열하고 그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1995년 개정된 제6차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지구과학 검인정 교과서 10종 중 5종의 내용을 분석하고 1종을 선택하여 개념도를 작성하였다. "III. 우주"단원은 지구 밖의 환경을 다루며 별과 우주에 대한 새로운 개념들이 다양하게 제시되며 천문학의 최근 연구들이 소개된다. 교과서에 있는 내용을 Novak의 방법에 의한 개념도를 작성하여 교과서에 있는 개념 중 학습자의 수준에서 개념을 획득하기 위하여 보충되어야 할 개념을 찾고 문제점을 작성하였고 이를 근거로 개선된 개념도를 작성하였다.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보다 효과적인 이해를 위해 필요없는 소단원명은 제외하고 내용 전개상 관련있는 개념들 간의 연관성을 살린 재배열이 필요하다. 둘째, 상위 개념과 하위 개념의 체계적인 전개가 요구된다. 셋째, 개념들의 학습이 잘 되도록 학습 개념과 관련있는 실례를 찾아 학습자의 경험과 인식에 관련을 맺도록 해야 한다.

The concept map is the diagram of two dimensions which hierachically arrays main concepts from those of the textbook and shows their relations. The research analyzed five of the ten high school earthscience textbooks approved by the Minister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6th reformed curriculum in 1995, one of which this research chose to make out the concept maps. The chapter [III. the Universe] contains the outer space of the earth presents new concepts about the stars and the universe and introduces the latest research in astronomy. This study changed textbook contents into Novak's concept map, searched for concepts requiring complement for learners in oder to obtain concepts from those of the textbook and pointed out problems on the basis of that result still better concept map is set up. We have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rule out unnecessary small units so as to make more effective understanding and to rearrange the units to have relation to contents. Second, the higher concept and lower concept need to be rearranged systematically in making an array of textbook contents. Third, the concept should have something to do with learners' experences and consciousness by showing learners the real examples relevant to the concept for the link between the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