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n-radiologic Methods for Predicting Vesicoureteral Reflux in Childhood Urinary Tract Infection

요로감염 환아에서 비방사선학적 방법에 의한 방광요관역류의 조기 예측에 관한 연구

  • Jeon Seong-Hoi (Department of Pediatrics,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K.C. (Department of Pediatrics,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Yoo Kee-Hwan (Department of Pediatrics,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전성회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광철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유기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Published : 1997.05.01

Abstract

Purpose : Vesicoureteral reflux(VUR) in childhood may be the primary cause of recurrent urinary tract infection and renal scarring. Renal ultrasonography, DMSA, and voiding cystourethrogram are the standard clinical methods for detection of vesicoureteral reflux. But these methods have many disadvantages such as invasiveness and high cost. So, we studied to observe the significance of urine ${\beta}_2$-microglobulin in association with other non-radiologic methods for predictng vesicoureteral reflux. Methods : We evaluated 40 patients with urinary tract infection who were admitted to Korea university Hospital from July 1993 to June 1994. Among them, 24 patients revealed urinary tract infection and vesicoureteral reflux(group A), 16 patients revealed only urinary tract infection(group B). Both groups were compared by presence of fever, hematuria, and proteinuria, positivity of CRP, and level of BUN, Cr, GFR by 99mTc-DTPA, urine ${\beta}_2$-microglobulin, 24 hours urine albumin. Results : 1) Among 24 patients who had vesicoureteral reflux, 14 had unilateral VUR, 10 had bilateral VUR, three kidneys with grade I, nine with grade II, eleven with grade III, eleven with grade IV by classification of International Reflux Study Committee. Among them, 14 patients had renal scar, five with type A, five with type B, four with type C, none with type D by Smellie's classification. 2) The mean of GFR, BUN, Cr, 24hrs urine albumin and the presence of hematuria and proteinuria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A and group B. The mean of urine ${\beta}_2$ microglobulin in group A and group B were $283.6{\pm}195.8{\mu}g/l$ and $78.7{\pm}48.5{\mu}g/l$ respectively, showing that group A had a higher value than group B (p<0.01). In case of ${\beta}_2$ microglobulin > $120{\mu}g/l$ and CRP(+), the sensitivity was 93.3% and the specificity is 77.8% for detecting of VUR. In case of ${\beta}_2$-microglobulin>$120{\mu}g/l$ and fever(+), the sensitivity was 92.2%, and the specificity was 62.5% for detecting of VUR Conclusions : If the level of urinary ${\beta}_2$-microglobulin is more than 120ug/l in children with urinary tract infection in association with fever(+) or CRP(+), it can predict VUR. So we can use it for early detection of VUR.

목적 : 방광 요관 역류는 소아에서 반복적인 요로감염을 일으키며 역류성 신병증으로 진행하는 질환으로 복부 초음파, DMSA scanning, 배뇨성 요도 방광 조영술등으로 확진할 수 있으나 이런 방사선학적 검사는 관혈적 방법으로 환아에게 동통 및 불쾌감과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고 검사 시행에 시간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내원 당시 환아의 임상 증상과 혈액 및 뇨의 생화학 검사 소견을 이용하여 방광요관 역류의 가능성을 조기에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 보고자 본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3년 7월부터 1994년 6월까지 요로감염증으로 고대병원 소아과에 내원한 환아중 방광요관 역류가 있는 24명(A군)과 대조군으로 방광요관 역류를 동반하지 않은 요로감염증 환아 16명(B군)을 대상으로 내원당시의 발열, 혈뇨 및 단백뇨의 유무, C-반응 단백, 혈중 요소질소, 크레아티닌, $^{99m}Tc-DTPA$로 측정한 사구체 여과율, 요중${\beta}_2$-microglobulin, 24시간 뇨중 알부민 양등을 측정 비교하였다. 결과 : 1) 방광 요관역류는 편측성이 14례, 양측성이 10례였으며 International Reflux Study Committee 분류법상, 역류를 보인 34신장중에 Grade I이 3신, Grade II 9신, Grade III 11신, Grade IV 11신의 분 를 보였고 Smellie등에 의한 분류상, 신반흔이 있던 14례중 type A 5례, type B 5례, type C 4례였고 type D는 없었다. 2) A군과 B군간의 평균 사구체 여과율, 혈중 요소질소, 크레아티닌, 24시간 뇨중 알부민의 양과 혈뇨, 단백뇨의 유무 비교는 통계적 의의가 없었다. 3) 요중 ${\beta}_2$-microglobulin의 평균값은 A군이 $283.6{\pm}195.8{\mu}g/l$, B군이 $78.7{\pm}48.5{\mu}g/l$로 방광요관 역류가 있는 경우가 의미있게 높았다 (p<0.01). 4) 요중 ${\beta}_2$-microglobulin이 $120{\mu}g/l$이상이면서 내원당시 C-반응 단백이 양성인 경우 민감도 93.3%, 특이도 77.8%(p<0.01)로, 또 요중 ${\beta}_2$-microglobulin이 $120{\mu}g/l$ 이상이면서 발열이 있었던 경우 민감도 92.2%, 특이도 62.5%(p<0.01)로 방광요관 역류가 동반되었다. 결 론 : 요로감염증으로 내원한 환아가 내원당시 발열이 있거나 C-반응 단백이 양성이면서 요중 ${\beta}_2$-microglobulin이 $120{\mu}g/l$ 이상인 경우 방광요관 역류가 존재함을 예측할 수 있어 임상적으로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